라벨이 고대이스라엘종교인 게시물 표시

아모스서의 신학 8. 구약성서 예언자 아모스가 전한 '여호와의 날'의 의미와 고대 이스라엘의 종교적 맥락

이미지
고대 이스라엘의 예언자 아모스가 전한 '여호와의 날'(The Day of YHWH) 개념은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의 종교적 기대와 충돌했습니다. 본 글에서는 아모스서를 통해 드러나는 고대 이스라엘의 종교적 관념과 예언자의 혁신적 메시지를 살펴보고, 그것이 지닌 신학적 의미를 탐구합니다. 구약성서 예언자 아모스가 전한 '여호와의 날'의 의미와 고대 이스라엘의 종교적 맥락 아모스서의 신학 7. 아모스서의 종교적 신념과 실천: 기원전 8세기 이스라엘의 신학적 변혁과 도덕적 가치관 분석 아모스의 신학 9. 아모스 예언자의 사회정의 신학과 이스라엘 비판 아모스서에 나타난 '여호와의 날' 개념은 고대 이스라엘 사회의 종교적 기대와 예언자적 비판의 긴장을 드러내는 중요한 주제입니다. 기원전 8세기 북이스라엘에서 활동한 아모스는 당시 민중들이 기대하던 '여호와의 날'이 그들의 희망과는 정반대의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여호와의 날'에 대한 민중들의 기대는 크게 두 가지 해석 의 틀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먼저 Sigmund Mowinckel은 이를 제의적 축제일로 해석했습니다. 이 해석에 따르면, '여호와의 날'은 정기적인 종교 축제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합니다. 백성들은 이 날을 하나님의 특별한 축복이 임하는 기쁨의 날 로 기대했을 것입니다. 반면 Gerhard von Rad는 '여호와의 날'을 성전(聖戰) 전통의 맥락에서 해석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이 자신들의 편에 서서 적들을 물리쳐주실 것이라 기대 했다는 것입니다. 이는 당시 고대근동의 일반적인 종교관념과도 일치하는 것으로, 자신들의 신이 전쟁에서 승리를 가져다줄 것이라는 믿음이 널리 퍼져있었습니다. 그러나 아모스는 이러한 낙관적 기대를 완전히 뒤집습니다. 그는 '여호와의 날'이 '빛이 아니라 어둠'이 될 것이라고 선언합니다. 이는 단순한 수사적 표현이 아니라, 당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