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모더나백신인 게시물 표시

화이자백신과 모더나백신에 대한 박치욱 교수님의 쉬운설명, RNA

이미지
다음의 내용은 박치욱 교수님의 모더나백신과 화이자백신에 대해 글을 쓰신 트위터 내용입니다. 박치욱 교수 트위터 바로가기    코로나 바이러스 사진 보신 적 있을 거예요. 겉에 돌기처럼 튀어 나온 부분 때문에 왕관 같이 생겼다고 코로나라는 이름이 붙었거든요.     우리 몸이 이 바이러스를 죽이려면 항체든 면역세포든 저 돌기 부분과 결합 을 해야 해요. 그런데 한번도 본 적이 없는 바이러스는 뭔지 몰라서 결합도 못합니다.    백신은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이 이 돌기 부분을 한번 경험하게 해주는 거죠. 그럼 실제 바이러스가 들어 왔을 때 바로 알아 보고 제거를 하기 때문에 감염이 되지 않습니다. 자 그럼 백신을 만들어 보죠. 우리 몸이 이 돌기 부분을 경험하게 해 주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고전적인 방법은 죽은 바이러스를 넣어 주는 겁니다. 그럼 병에 걸릴 가능성 없이 면역이 생겨요. 유전공학이 나온 뒤로는 바이러스를 통째로 안쓰고 저 돌기 부분만 쓰기도 해요. 저 돌기가 사실 단백질이거든요. 그러니 돌기의 유전자를 찾아 단백질만 만들어 내서 백신으로 쓰죠.    그런데 최근에 이 RNA 백신이 새롭게 떠올랐어요. 우리 몸에서 단백질을 만들 때, 게놈 안에 DNA로 되어 있는 유전자를 복사해서 RNA를 먼저 만들어요. 그런 다음 이 RNA를 설계도로 써서 단백질을 만듭니다. 이 설계도에 해당하는 RNA를 messenger RNA(mRNA)라고 하죠.    그래서 번거롭게 단백질을 만들어서 백신을 주지 말고 이 mRNA를 만들어서 백신으로 쓰면 되지 않겠냐 하게 된 거죠. 근데 이게 정말 됩니다. 바이러스의 돌기 부분에 해당하는 mRNA가 세포 내에 들어 가면 우리 몸이 그 돌기에 해당하는 단백질을 만드는 거죠. 그리고 돌기에 대한 면역이 생겨요.    물론 RNA는 몸에 들어가면 금방 깨져요. 세포 내로 잘 들어 가지도 않...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접종 후 잇따르는 부작용? 우리는 아스트라제네카인가? 화이자와 모더나

이미지
    일주일이 넘어서도록 우리 나라의 코로나19확진자의 수가 1,000명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해외만의 일이라 생각했던 병상의 부족과 심각한 바이러스 확진 사태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확산은, 해외에서 확진자 유입과 함께 사회적 거리두기에 소홀했던 탓인 것 같습니다.    게다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확진자가 전체 확진자가 77%가 넘는 상황 속에서, 사회적거리두기3단계로 가야 하는지를 두고 정부가 고심하고 있습니다. 경제와 방역 두 가지를 놓고서 딜레마에 빠져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혼란한 상황 속에서 미국을 비롯한 유럽 여러 국가들에서는 백신 접종을 시작하였습니다. 미국에서는 6명의 백신 부작용자가 보고되긴 하였지만, 그래도 희망을 가질 수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의 식품의학안전청(FDA)의 승인과 함께 본격적으로 백신 접종을 하며 환호하고 있습니다.     드디어! 이 코로나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것인가요?    현재 몇몇 백신을 생산하는 제약회사들의 백신들이 본격적으로 공급과 접종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마치 군사작전을 연상케 할 정도로 치열하게 백신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우려의 눈길 을 보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백신의 효율성과 안정성에 대한 의심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백신을 생산하는 회사들에서는 90%~95% 정도의 안정성과 효과가 있다고 확신하고 있습니다만, 아직은 알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아마도 우리나라에서의 백신 접종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것도 이 안정성의 문제 때문입니다.    백신은 여러 번의 임상 실험을 통하여 그 안정성을 확인하게 됩니다. 따라서 매우 신중하게 실험을 하고 결과를 도출해 냅니다. 그리고 그 실험 결과를 토대로 미국의 FDA에서 승인을 하게 되는 것이지요. 백신의 임상실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