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민수기35장인 게시물 표시

민수기 35장의 도피성(ערי המקלט, 아레이 하미클랏, city of refuge)

이미지
출애굽기와 민수기, 신명기 등에는 도피성에 관한 하나님의 지명과 명령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부지 중에 사람을 죽인 사람이 정식 재판을 받기 이전에 보복자로부터 도피하기 위한 6개의 성읍들을 도피성으로 지정하고 있는데, 구약 성경에 나타난 개념들을 정리하였습니다. 민수기 35장의 도피성(ערי המקלט, 아레이 하미클랏, city of refuge) 도피성의 개념 이스라엘에는 6개의 도시가 도피성(히브리어 ערי המקלט)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도피성는 의도치 않게 사람을 죽인 사람이 재판을 받을 때까지 피의 복수에 대한 두려움 없이 거주할 수 있는 안식처 또는 피난처입니다. 출 21:13, 민 35:9-15, 신 4:41-43, 19:1-13, 여호수아 20장, 역대하 6장에서 이러한 도시에 대해 설명합니다. 성경에 나타난 도피에 대한 개념들 1. 열왕기서의 도피 "도피"(מקלטת, 미클랏)이라는 개념은 히브리 전통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고대 근동과 다른 지역의 여러 고대 민족은 도망자가 특정 지정된 장소로 가거나 그곳으로 피신하면 피난처를 얻을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장소는 종종 문화 중심지였습니다. 히브리어 성경에는 솔로몬을 두려워한 아도니야가 제단 뿔을 붙잡고 피난처를 찾는 장면(왕상 1:50-53)에서 이러한 전통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솔로몬은 성소 개념을 준수하고 아도니야가 적어도 한동안은 살아있도록 내버려 두었습니다(왕상 2:23-24 참조). 그러나 또 다른 경우(왕상 2:28-34)에서 솔로몬은 성소 개념을 무시하고 아도니야의 지지자인 요압이 제단 뿔에 달라붙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요압을 죽였습니다. 2. 출애굽기의 도피성 도피성 지정에 관한 법규는 출애굽기, 민수기, 신명기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언약 규례의 일부이며 초기 전통을 반영한 것으로 보이는 출 21:12-14에서는, 고의적 살인과 비의도적 살인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고의적 살인의 가해자는 즉시 처리되지만, 우발적으로 또는 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