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론: 하나이시며 삼위이신 하나님에 대한 조직신학적 해설

기독교 조직신학의 핵심인 신론(Theology Proper)을 심도 있게 탐구하는 학술 소논문. 하나님의 존재와 속성(비공유적/공유적), 삼위일체 교리의 성경적 기초와 니케아 공의회를 통한 역사적 정립 과정, 그리고 창조와 섭리 사역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아우구스티누스, 아퀴나스, 칼뱅, 바르트의 신론을 비교하여 신학적 방법론의 흐름까지 조망합니다. 신론: 하나이시며 삼위이신 하나님에 대한 조직신학적 해설 신론의 기초: 하나님에 대한 지식 신론(Theology Proper)은 기독교 조직신학의 가장 근본이 되는 분야로, 모든 신학 담론의 기초가 되는 하나님 자신에 대한 성경적-신학적 탐구입니다. 이는 단순히 신의 존재 유무를 따지는 변증론을 넘어, 성경이 계시하는 하나님의 존재 방식, 그의 본질과 속성, 그리고 삼위일체 하나님의 내적 관계와 사역을 심도 있게 다룹니다. 하나님을 아는 지식은 모든 교리의 출발점이자 기독교인의 신앙과 삶의 궁극적 지향점이기에, 신론 연구는 신학의 심장과도 같습니다. 하나님의 존재와 속성 하나님의 존재는 피조세계의 정교함과 인과율을 통해 그 존재의 필연성을 유추하는 일반 계시(자연 계시)를 통해 어렴풋이 인지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독교 신학에서 하나님에 대한 참된 지식은 하나님의 능동적인 자기 계시(Self-revelation)에 전적으로 의존합니다. 특히 성경이라는 특별 계시를 통해 하나님은 자신의 이름과 성품, 그리고 구원 계획을 명확히 드러내셨으며, 이 계시의 정점은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오신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나타납니다. 칼뱅이 강조했듯, ‘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우리를 아는 지식’은 분리될 수 없으며, 이 지식은 성경을 통해 주어지는 하나님의 자기 선언에 귀 기울일 때 비로소 시작됩니다. 1. 신적 속성의 분류: 비공유적 속성과 공유적 속성 하나님의 본질은 그의 속성들을 통해 이해됩니다. 신학은 전통적으로 이를 다른 피조물과 공유할 수 없는 하나님의 절대적 완전성을 나타내는 ‘비공유적 속성(Inco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