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유다인 게시물 표시

역대하, 유다 왕들의 역사와 하나님과의 관계

이미지
구약성경들 중의 역대하는 유다 왕들의 역사를 기록하며 하나님에 대한 성실함을 강조합니다. 특히 역대하는 역사적인 내용을 신학적으로 해석하는 독특함을 보여 주며, 다윗 왕가에 대한 하나님의 변함없는 사랑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솔로몬의 통치, 성전, 후대 왕들을 다루고 유배와 귀환의 희망으로 끝납니다. 역대하, 유다 왕들의 역사와 하나님과의 관계 역대하의 주요 내용 1. 솔로몬의 통치 성전 건축과 봉헌, 솔로몬의 지혜와 부, 그리고 그의 죽음. 솔로몬은 하나님의 지혜로 이스라엘을 통치하고 예루살렘에 웅장한 성전을 건축합니다. 그의 부와 명성이 널리 알려지지만, 말년에는 우상숭배로 인해 하나님의 뜻에서 벗어납니다. 2. 유다 왕들 후대 왕들의 통치, 하나님에 대한 충실함 또는 불충실함에 초점. 주목할 만한 왕들로는 아사, 여호사밧, 히스기야, 요시야가 있습니다. 이 왕들은 종교 개혁을 시도하고 하나님께 돌아가려 노력했지만, 많은 다른 왕들은 우상숭배와 불의한 통치로 인해 비난받습니다. 3. 예루살렘의 함락 바빌로니아의 침략, 성전 파괴, 백성들의 유배. 유다 왕국의 마지막 시기를 다루며, 바빌로니아에 의한 예루살렘 함락과 성전 파괴를 기록합니다. 백성들이 포로로 끌려가는 비극적 사건을 서술하지만, 페르시아 왕 고레스의 귀환 허락 칙령으로 희망적인 메시지와 함께 끝납니다. 역대하의 저자 전통적으로 에스라에게 귀속되지만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습니다. 저자는 제사장이나 레위인으로 추정되며, 역사 기록과 예언서들을 편찬했습니다. 그의 관점은 성전 예배의 중요성과 하나님의 율법을 따르거나 거부하는 것의 결과를 강조합니다. 저자는 영적 교훈을 주기 위해 역사적 사건들을 신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습니다. 역대하의 저술 시기와 역사적 배경 바빌로니아 유배 이후인 기원전 430-400년경에 기록되었습니다. 솔로몬의 통치(기원전 970년)부터 바빌로니아 포로기(기원전 586년)와 고레스의 칙령(기원전 538년)까지의 기간을 다룹니다. 이 책은 귀환한 유대인들에게 그들의 영적...

[야곱의 열 두 아들들] 4. 유다(יהודה, JUDAH) - 성경연대표도표지도

이미지
야곱의 열 두 아들들 중에 가장 중요한 유다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그는 야곱과 모세의 축복을 받은 사람이며, 그의 후손 중에서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탄생하셨습니다. 유다에 대한 기본 사항들과 주목할 만한 사항들을 정리하였습니다. 야곱의 열 두 아들들, 4. 유다(יהודה, JUDAH) 유다에 대한 개요 1. 기본 사항 이름의 의미 : 찬양 상징 : 사자, 루비, 붉은 색 가족 : 야곱과 레아 사이에서 태어난 넷째 아들입니다. 마태복음에 나타난 족보에서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어떻게 유다의 후손이자 다윗 왕족으로 이 땅에 오셨는가를 보여 줍니다(마 1장; 시 89:3-4; 사 9:6; 히 7:14; 계 5:5).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미가가 예언한 것과 같이 베들레헴에서 탄생하셨습니다(미 5:2). 2. 지파의 규모 1차 인구 조사 : 74,600명 2차 인구 조사  : 76,500명. 이스라엘의 지파들 가운데 가장 큰 지파였습니다. 3. 지파의 위치 매우 넓은 땅을 여호수아에게 할당 받았습니다. 유다 지파의 땅에는 예루살렘이나 베들레헴, 헤브론과 가사 지방까지 중요한 도시들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4. 야곱의 축복 야곱은 유다를 일컬어 새끼 사자라고 축복하였습니다. 유다 지파에서 왕이 탄생할 것임을 예언하였고, 그의 축복은 다윗의 탄생과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통하여 실현되었습니다. 창세기 49:9-10, 유다는 사자 새끼로다 내 아들아 너는 움킨 것을 찢고 올라갔도다 그가 엎드리고 웅크림이 수사자 같고 암사자 같으니 누가 그를 범할 수 있으랴 규가 유다를 떠나지 아니하며 통치자의 지팡이가 그 발 사이에서 떠나지 아니하기를 실로가 오시기까지 이르리니 그에게 모든 백성이 복종하리로다 5. 모세의 축복 야곱이 이미 모든 백성들이 유다에게 복종할 것이라고 축복하였었습니다. 모세 역시 유다가 다른 지파들의 지도자 역할을 할 것임을 선언하였습니다. 또한 적들과의 싸움에서 앞장서서 싸울 것임을 선언하였습니다. 신명기 33:7, 유다에 대한 축복은 이러하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