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코로나19백신인 게시물 표시

화이자백신과 모더나백신에 대한 박치욱 교수님의 쉬운설명, RNA

이미지
다음의 내용은 박치욱 교수님의 모더나백신과 화이자백신에 대해 글을 쓰신 트위터 내용입니다. 박치욱 교수 트위터 바로가기    코로나 바이러스 사진 보신 적 있을 거예요. 겉에 돌기처럼 튀어 나온 부분 때문에 왕관 같이 생겼다고 코로나라는 이름이 붙었거든요.     우리 몸이 이 바이러스를 죽이려면 항체든 면역세포든 저 돌기 부분과 결합 을 해야 해요. 그런데 한번도 본 적이 없는 바이러스는 뭔지 몰라서 결합도 못합니다.    백신은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이 이 돌기 부분을 한번 경험하게 해주는 거죠. 그럼 실제 바이러스가 들어 왔을 때 바로 알아 보고 제거를 하기 때문에 감염이 되지 않습니다. 자 그럼 백신을 만들어 보죠. 우리 몸이 이 돌기 부분을 경험하게 해 주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고전적인 방법은 죽은 바이러스를 넣어 주는 겁니다. 그럼 병에 걸릴 가능성 없이 면역이 생겨요. 유전공학이 나온 뒤로는 바이러스를 통째로 안쓰고 저 돌기 부분만 쓰기도 해요. 저 돌기가 사실 단백질이거든요. 그러니 돌기의 유전자를 찾아 단백질만 만들어 내서 백신으로 쓰죠.    그런데 최근에 이 RNA 백신이 새롭게 떠올랐어요. 우리 몸에서 단백질을 만들 때, 게놈 안에 DNA로 되어 있는 유전자를 복사해서 RNA를 먼저 만들어요. 그런 다음 이 RNA를 설계도로 써서 단백질을 만듭니다. 이 설계도에 해당하는 RNA를 messenger RNA(mRNA)라고 하죠.    그래서 번거롭게 단백질을 만들어서 백신을 주지 말고 이 mRNA를 만들어서 백신으로 쓰면 되지 않겠냐 하게 된 거죠. 근데 이게 정말 됩니다. 바이러스의 돌기 부분에 해당하는 mRNA가 세포 내에 들어 가면 우리 몸이 그 돌기에 해당하는 단백질을 만드는 거죠. 그리고 돌기에 대한 면역이 생겨요.    물론 RNA는 몸에 들어가면 금방 깨져요. 세포 내로 잘 들어 가지도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