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타헤브인 게시물 표시

사마리아인들의 타헤브(התהב), 회복시키시는 분 - 성경사전

이미지
유대인들과 달리, 사마리아인들은 그리심 산을 예배의 장소로 여기며 자신들만의 모세오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예루살렘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습니다. 메시야를 의미하는 '타헤브'에 대한 그들의 개념도 매우 독특하며 유대인의 메시야와는 상당히 다릅니다. 타헤브(התהב), 회복시키시는 분 - 모세와 같은 예언 '타헤브'의 의미 '타헤브'라는 단어는 '회복' 혹은 '재림'을 의미합니다. 이 단어에는 두 가지의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첫째, '타헤브'는 이스라엘이 토라(תורה)라는 진실한 말씀으로 다시 돌아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둘째, '타헤브'는 신명기 18장 15절과 18절에 언급된 대로 모세와 같은 예언자, 즉 회복자가 재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명기 18:15,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희 가운데 네 형제 중에서 너를 위하여 나와 같은 선지자 하나를 일으키시리니 너희는 그의 말을 들을지니라 신명기 18:18, 내가 그들의 형제 중에서 너와 같은 선지자 하나를 그들을 위하여 일으키고 내 말을 그 입에 두리니 내가 그에게 명령하는 것을 그가 무리에게 다 말하리라 그는 에브라임(이스라엘)과 유다와 함께, 이스라엘이 시작할 때 예배했던 초기 예배 장소인 그리심 산으로 돌아갈 것입니다. 그는 토라을 통하여 모든 잃어버린 것들을 다시 회복시킬 것입니다. 그는 '마나의 오메르'(Omer of Mana)와 함께 그 산 아래에 묻혀 있는 거룩한 도구들을 발견할 것이며 성막을 회복하고 다시 세우실 것입니다(거룩한 도구들은 모세가 죽은 후 261년에 묻혔습니다). 그분은 언약궤를 원래 있던 자리에 놓을 것입니다.  타헤브의 통치는 고통이나 노동이 없던 애굽에서 요셉이 통치하던 시대에 비유됩니다. 창조주 하나님께서 타헤브를 통하여 이스라엘에게 영원한 승리와 최후의 구원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백성들은 회개하고 언약을 통한 적절한 지위를 부여 받게 될 것입니다. 고대...

유대인과 사마리아인의 메시야를 향한 다른 기대 - 성경사전

이미지
  유대인들과 사마리아인들이 서로 교류를 하지 않았던 1세기의 상황 속에서, 그들이 생각하는 '메시야(משיח)에 대한 관점'도 조금 달랐던 것 같습니다. Anchor Yale Bible Dictionary에서 다루는 '메시야에 대한 기대'라는 부분을 발췌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유대인과 사마리아인의 메시야를 향한 다른 기대 유대인들이 생각하는 메시야 유대인들의 문헌들 속에서 우리는, 그리스도가 이 땅에 온 후 이적을 행할 것이라는 기대에 관한 내용들을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유대인들은 이적과 같은 사건은 일반적으로 모세나 예언자들을 통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요한복음 7:31, 무리 중의 많은 사람이 예수를 믿고 말하되 그리스도께서 오실지라도 그 행하실 표적이 이 사람이 행한 것보다 더 많으랴 하니 요한복음 6:14, 그 사람들이 예수께서 행하신 이 표적을 보고 말하되 이는 참으로 세상에 오실 그 선지자라 하더라 요한복음 9:16-17, 바리새인 중에 어떤 사람은 말하되 이 사람이 안식일을 지키지 아니하니 하나님께로부터 온 자가 아니라 하며 어떤 사람은 말하되 죄인으로서 어떻게 이러한 표적을 행하겠느냐 하여 그들 중에 분쟁이 있었더니 이에 맹인되었던 자에게 다시 묻되 그 사람이 네 눈을 뜨게 하였으니 너는 그를 어떠한 사람이라 하느냐 대답하되 선지자니이다 하니 사마리아 우물가의 여인과 메시야 예수 예수님께서 사마리아의 우물가에서 만난 한 여인은 예수님이 그리스도이신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였습니다. 그리고 "그가 오시면 우리에게 모든 것을 보여 주실 것이다"고 말하며 그때서야 그 메시야를 믿을 것이라고 고백합니다. 그녀의 이러한 말에도 그리스도가 이적을 행할 것인가에 대한 기대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요한복음 4:25, 여자가 이르되 메시야 곧 그리스도라 하는 이가 오실 줄을 내가 아노니 그가 오시면 모든 것을 우리에게 알려 주시리이다 요한복음 4:29, 내가 행한 모든 일을 내게 말한 사람을 와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