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포도원인 게시물 표시

마태복음 21장 33절-46절, 악한 농부들의 비유 - 마태복음 강해 설교

이미지
마태복음 21장 33절부터 46절까지의 말씀을 통하여, 예수님은 주인의 재산을 차지하기 위하여 종들과 상속자까지 죽인 악한 농부들에 관한 비유를 들려 주셨습니다. 주님의 악한 농부들에 관한 비유는, 우리 주님의 죽으심에 관한 예언의 말씀이기도 합니다. 마태복음 21장 33절-46절, 악한 농부들의 비유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악한 농부들에 관한 비유를 말씀해 주셨습니다. 이 비유를 통해 이스라엘 역사를 요약하여 그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그리스도를 기점으로 이스라엘과 이방인의 구속역사가 전환됨을 예언하고 있습니다. 첫째, 하나님의 목적.  이 비유는 예수님 당시 팔레스틴의 사회적 상황이었습니다. 이 비유를 통해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곧 하나님의 백성을 선택하신 목적을 말씀하셨습니다. 마 21:33, 다른 한 비유를 들으라 한 집 주인이 포도원을 만들어 산울타리로 두르고 거기에 즙 짜는 틀을 만들고 망대를 짓고 농부들에게 세로 주고 타국에 갔더니 하나님은 포도나무를 심으셨고 열매를 원하셨습니다(사 5:1-7). 무화과나무의 저주 사건과 이 비유에서 하나님께서는 그의 백성에게 '열매'를 거두려 하고 계심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구원하신 목적은 거룩의 열매에 있습니다. 그러나 유대인은 열매를 맺지 못했습니다. 둘째, 이스라엘의 태도.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에게 율법을 주셨고, 그 율법대로 순종하도록 선지자들을 계속 일으키사 활동시킴으로 타락한 이스라엘이 하나님께로 돌아오게 하셨으나 그들은 선지자들을 박해하고 말았습니다(마 5:12; 마 23:37; 히 1:1-2). 마태복음 21:35, 농부들이 종들을 잡아 하나는 심히 때리고 하나는 죽이고 하나는 돌로 쳤거늘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을 회개시키기 위해 길이 참으셨습니다. 바울은 '혹 네가 하나님의 인자하심이 너를 인도하여 회개케 하심을 알지 못하여 그의 인자하심과 용납하심과 같이 참으심의 풍성함을 멸시하느뇨, 다만 네 고집과 회개치 아니한 마음을 따라 그날에 임할...

마태복음 21장 23절-32절, 예수 그리스도의 권위 - 마태복음 강해 설교

이미지
마태복음 21장 23절부터 32절까지의 말씀은, 이스라엘 종교 지도자들이 예수님께 어떤 권위로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전하느냐는 질문에 대한 예수님의 대답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예수님은 세례 요한의 세례를 예로 드시며 이스라엘의 불신앙을 꾸짖으셨습니다. 마태복음 21장 23절-32절, 예수 그리스도의 권위 이스라엘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거부하였습니다. 대제사장들과 백성의 장로들이 성전에서 주님께 나아와 무슨 권세로 일하는가에 대해 정중하게 질문했습니다. 그들이 그리스도를 믿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사람의 불신은 시대마다 반복되고 있습니다. 첫째, 요한의 세례. 예수님은 요한의 세례로써 질문에 답하셨습니다. 마태복음 21:25, 요한의 세례가 어디로부터 왔느냐 하늘로부터냐 사람으로부터냐 그들이 서로 의논하여 이르되 만일 하늘로부터라 하면 어찌하여 그를 믿지 아니하였느냐 할 것이요 백성의 종교지도자들은 스스로 함정에 빠져 '우리가 알지 못하노라'고 궁색한 대답을 늘어 놓자 주님께서도 대답을 보류하셨습니다. 종교지도자들은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치 못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교만했습니다. 하나님 말씀에 대해 우리는 겸허한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누구를 통해 말씀하시든지 자신을 낮추고 말씀을 들어야 합니다. 세상은 '무슨 권세'를 요구하지만 하나님은 '믿음'을 요구하십니다. 둘째, 두 아들의 비유.  두 아들의 비유는 이스라엘이 버림받게 되는 그 이유를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마태복음 21:28, 그러나 너희 생각에는 어떠하냐 어떤 사람에게 두 아들이 있는데 맏아들에게 가서 이르되 얘 오늘 포도원에 가서 일하라 하니 세례 요한은 이스라엘을 회개시키고 주님을 믿게 하기 위해 먼저 보내신 선지자였습니다. 세례 요한을 거절한 것은 메시야를 거절한 행위였습니다. 이스라엘은 세리와 창기를 멸시하였습니다. 세리와 창기는 죄인으로 정죄를 받았습니다. 스스로 율법의 의에 우월감을 가졌던 종교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