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3장1절11절인 게시물 표시

신명기 3장 1절-11절, 요단 동편을 점령하다 - 매일성경 큐티 새벽설교자료

이미지
이스라엘은 바산 왕 옥을 정복하기 위해 나섰습니다. 바산 왕 옥은 큰 덩치를 가진 용사였지만, 이스라엘은 하나님을 신뢰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하여 그를 물리치고 바산 땅을 차지했습니다. 신명기 3:1-11의 내용들을 정리하고 새벽설교문을 요약하였습니다. 신명기 3장 1절-11절, 요단 동편을 점령하다 본문의 개요 1 : 바산 왕 옥을 격파하고 요단 동편을 점령하다 신명기 3장 1-11절은 이스라엘이 아모리 족속의 왕 시혼을 격파한 후, 바산 왕 옥을 격파하고 요단 동편을 점령하는 내용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1. 바산 왕 옥을 격파하다 이스라엘은 아모리 족속의 왕 시혼을 격파한 후, 요단 강 동쪽에 있는 바산으로 진격했습니다. 바산은 옥이 다스리는 강력한 나라였습니다. 옥은 거인족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침상은 철 침상으로 사람의 보통 규빗으로 재면 길이가 아홉 규빗, 너비가 네 규빗이나 되었다고 합니다. 이스라엘이 바산에 진격하자, 바산 왕 옥은 이스라엘을 대적하기 위해 그의 모든 백성을 거느리고 에드레이에서 싸우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모세에게 두려워하지 말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옥과 그의 모든 백성을 이스라엘의 손에 넘겨 주셨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말씀을 의지하여 바산 왕 옥과 그의 모든 백성을 격파했습니다. 이스라엘은 그들을 쳐서 한 사람도 남기지 않았습니다. 2. 바산 왕의 땅을 차지하다 이스라엘은 바산 왕 옥을 격파한 후, 바산의 모든 성읍을 점령했습니다. 바산의 성읍은 모두 높은 성벽으로 둘려 있었고, 문과 빗장이 있어 견고했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그 성읍들을 멸망시키고, 그 성읍의 남녀와 유아를 멸망시켰습니다. 다만 모든 가축과 그 성읍들에서 탈취한 것은 그들의 소유로 삼았습니다. 3. 요단 동편을 점령하다 이스라엘은 바산을 점령한 후, 요단 강 동쪽의 아모리 족속의 땅도 점령했습니다. 이스라엘은 아르논 골짜기에서부터 헤르몬 산에까지 아모리 족속의 두 왕에게서 빼앗았습니다. 이스라...

빌립보서 3장 1절-11절, 그리스도 예수를 아는 지식 - 매일성경 큐티 새벽설교 자료

이미지
사도 바울은 다른 교회들에게 쓴 편지와 동일하게, 교회 안에 있는 거짓 교사들과 그들의 거짓 가르침에 대해 경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은 그리스도 예수를 아는 지식을 위해 모든 것을 버렸다고 말합니다. 매일성경 큐티 본문인 빌립보서 3:1-11의 설교 자료입니다.  빌립보서 3장 1절-11절, 그리스도 예수를 아는 지식 본문의 개요 1 : 진정한 구원의 길 바울은 빌립보 성도들에게 유대주의자들의 거짓 교훈에 대해 경계하면서 자신과 같이 오직 복음을 위하여 살 것을 명했습니다. 거짓 선생들은 육신의 욕심을 위하여 살지만 성도는 바울과 같이 오직 하늘에 소망을 둔 자로서 그리스도 안에서 믿음을 좇아 거룩한 삶을 살아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1. 주 안에서 기뻐하라 바울은 성도들에게 주 안에서 기뻐하라고 명했습니다. 성도가 세상에서는 기뻐할 것이 없지만 그리스도 안에서는 항상 기뻐할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바울이 이 서신을 기록할 당시는 성도들이 심한 박해를 받으며 바울도 옥중에 있는 상태였습니다. 그러나 바울이 기뻐하라고 한 것은 하나님의 구원의 기쁨을 누리라는 것이었습니다. 바울은 자신이 먼저 복음으로 인하여 기뻐함을 보이고, 성도들에게 신앙으로 모든 환경을 극복한 기쁨을 가질 것을 교훈한 것입니다. 또한 바울은 자신이 성도들에게 같은 말을 반복하여 쓰는 것이 수고로움이 없고 그들에게는 안전하다고 하였는데 이는 진리의 말씀을 계속해서 전하고 듣는 가운데 믿음이 성장하고 사단의 공격을 막아낼 수 있는 힘이 배양됨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2. 그리스도를 자랑하는 성도 바울은 성도들에게 개들을 삼가고 행악하는 자들을 삼가고 손할례당을 삼가라고 말씀했습니다. 이는 모두 유대주의자들을 가리킨 것입니다. 당시 유대주의자들은 예수의 복음을 믿어도 구원을 받으려면 할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이 구원을 받는 데 있어서 불충분하다는 사상으로서 이단 사상이었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그러한 자들의 거짓 교훈에 성도들이 미혹받지 않기를 위하여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