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헤미야 13장 14절 "나를 기억하옵소서" 기도에 대한 해석학적 고찰: 자기 의(Self-righteousness)인가, 언약적 호소인가?
느헤미야 13장 14절 '나를 기억하옵소서'라는 느헤미야의 기도는 자기 의를 드러내는 것일까요? 본문은 이 기도의 '자기 의(義)' 해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히브리어 'זכר'와 'חסד'의 의미, 그리고 13장 전체 문맥을 통해 이것이 언약적 충성에 기반한 절박한 신앙고백임을 설명하였습니다. 느헤미야 13장 14절 "나를 기억하옵소서" 기도에 대한 해석학적 고찰: 자기 의(Self-righteousness)인가, 언약적 호소인가? 목차 I. 서론: 문제 제기 II. 본론 1: "자기 의" 해석의 대두와 그 문맥적 근거 III. 본론 2: "기억하소서(Zakar)"의 언약적 의미와 신학적 함의 IV. 본론 3: 느헤미야 13장 전체에 나타난 기도의 종합적 이해 V. 결론: 개혁자의 고독과 신앙고백으로서의 기도 VI. 참고문헌 I. 서론: 문제 제기 성경 느헤미야서는 무너진 예루살렘 성벽 재건이라는 민족적 과업과 신앙 공동체의 개혁을 다룬다. 특히 마지막 장인 13장은, 느헤미야가 잠시 페르시아로 돌아갔다가 다시 예루살렘에 왔을 때 목격한 총체적인 신앙적 타락(성전 훼손, 십일조 중단, 안식일 모독, 이방인과의 통혼)과 이에 대한 그의 격렬한 개혁을 기록한다. 이 격동의 문맥 속에서 느헤미야 13장 14절, " 내 하나님이여 이 일로 말미암아 나를 기억하옵소서 내 하나님의 전과 그 모든 직무를 위하여 내가 행한 선한 일을 도말하지 마옵소서 "라는 기도가 등장한다. 이 기도는 종종 느헤미야가 자신의 공로를 내세우며 하나님의 보상을 요구하는, 일종의 '자기 의(self-righteousness)'를 드러내는 기도로 해석되어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본고는 이러한 해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해당 구절의 본래적 의미를 신학적, 문맥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II. 본론 1: "자기 의" 해석의 대두와 그 문맥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