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가덕도인 게시물 표시

확장이냐 새로 만드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가덕도 신공항 논쟁

이미지
    최근 부산 신공항과 관련된 이슈로 보도경쟁이 뜨거웠습니다. 저도 부산에서 오랫동안 살았었던 사람으로서, 두 제안들의 내용과는 상관 없이, 김해 공항이 좁고 불편하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매우 공감합니다. 현재 상황에서의 김해공항은 국제공항으로서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현재 김해 공항이 가지는 문제점 소음공해로 인하여 주민들의 반발과 민원이 계속 제기되고 있음 군사공항인 까닭에, 민간기의 이용 시간이 제한적임 주변에 신어산과 돗대산 등과 아파트 단지들이 있어서 충돌의 위험이 있음 전세계에서도 항공기 이착륙을 위해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공항으로 지적됨 활주로가 짧아서 활주로 이탈의 우려가 있음 김해공항 논란의 과정 항공기 충돌 사고    지난 2002년 4월 중국의 국제항공 129편이 김해 공항 북쪽에 위치한 돗대산과 충돌하여 129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사고의 원인은 시야가 좋지 않아서 돗대산을 확인하지 못한데 있었습니다. 김해공항 이전 요구 시작    그 전에도 김해공항의 이전에 대한 주민들의 요구들이 있었지만, 충돌 사고를 계기로, 김해공항의 안전 문제가 이슈로 떠오르게 됩니다. 신공항 제안    경상남북도를 모두 감당할 수 있는 신공항의 건설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습니다. 부산경남의 많은 인구와 함께, 인천까지 가야만 하는 대구경북지역의 인구까지 흡수할 수 있는 신공항의 필요성이 요구되었습니다.    하지만 대구경북에서는, 대구와 부산의 중간에 위치한 밀양에 신공항을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하게 됩니다. 가덕도를 후보지로 선정    부산경남에서는 세계의 여러 국제공항들의 입지적인 조건을 참고하여, 부산 가덕도에 신공항을 건설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주변에 산이 없어서 충돌의 위험이 없고 소음으로 인한 주민의 피해도 없습니다. 게다가 24시간 운항이 가능한 국제공항이 되기 위한 최적의 조건지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