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가스라이트 효과인 게시물 표시

가스라이팅(Gaslighting) 진행단계 예시 대처법

이미지
    심리학의 용어 중에 "가스라이팅"(Gaslighting) 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은 사람과 사람의 관계 속에서, 누군가를 조종하고 지배하는 경우에 흔히 사용되는 말입니다. ▩ 정의    정상적인 상황을 비정상적인 상황인 것처럼 조작하여 상대방의 판단력을 스스로 의심하게 만드는 정서적인 학대 행위이자 조종행위를 말합니다. 우리 말로는 "심리 지배"라고 표현합니다. ▩ 유래    1938년, 영국에서 상영되었던 연극 '가스등'(Gaslight) 에서 유래된 용어입니다. 이 연극에서 남편인 그레고리는 아내인 폴라의 유산을 노리면서, 그녀가 브로치를 잃었다고 말하거나 그림을 훔쳤다고 거짓말을 계속합니다.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서, 폴라는 정말 자신의 기억력을 의심하며 심리적인 불안감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폴라는 매일 밤마다 어두워지는 자신의 방의 가스등 불빛과 다락에서 들리는 발소리를 이상하게 여기며 남편에게 말하자, 남편 그레고리는 폴라가 환각을 본다면서 정신이상자로 몰아갑니다.    여기에서 유래된 '가스라이팅'은, 사실과 다른 거짓말을 통하여 자신에 대한 왜곡된 생각을 하게 만들고 자신감을 상실하게 합니다. 그리고 심리적 불안감을 이용하여 통제 하려 드는 경우에 사용하는 용어로 알려지게 됩니다. ▩ 진행의 단계    미국의 심리치료사인 로빈 스턴(Robin Stern) 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상대방을 조종하는 가해자와 가해자의 생각을 무조건적으로 받아 들이는 가해가자 만든 병리적 현상을 '가스라이트 이펙트'(가스등 효과, Gaslight Effect) 라고 표현합니다.    그리고 로빈 스턴은 다음과 같이 가스라이팅의 진행 3단계를 정리하였습니다. 1단계 : 불신    상대방이 나의 기억이나 감정, 느낌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할 때 혼란스러워하거나 자신에 대해 의심하기 시작한다 2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