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개론 - 11. 기억 -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억해야 한다(1)

심리학 개론 - 11. 기억 -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억해야 한다 1. 기억의 일반적 특징 1) 기억의 정의 - 과거 경험으로부터 얻은 정보와 지식을 유지하고 현재에 되살려 주어진 과제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 - 기억은 지식을 쌓아두는 저장고, 저장해놓은 지식을 꺼내는 과정을 포함 2) 기억에 대한 다양한 관점 (1) 정보처리관점(information processing)에서의 기억 • 기억의 과정 ① 부호화(encoding): 감각 정보가 기억 속에 저장 가능한 표상으로 전환되는 과정 ② 파지(retention): 부호화된 정보를 기억 속에 유지하는 역할 ③ 인출(retrieval): 기억 속의 정보를 과제 수행을 위해 이끌어 내는 과정. 즉, 부호화, 파지, 인출의 세 단계를 거처 기억을 회상하거나 재인함 • 기억의 종류 - 회상(recall): 정보가 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저장된 정보를 기억에서 인출해야 하므로 재인보다 더 어렵다. 예) 주관식 단답형 시험 - 재인(recognition): 제시된 것이 기억된 정보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는 과정 예) 객관식 오지선다형 시험 • 기억을 지속시간에 따라 감각저장(sensory register), 단기기억(short term memory), 장기기억(long term memory)으로 구분 (2) 정보를 능동적 처리하는 기억 - 기억이란 정보를 능동적으로 처리한 결과가 부호화되어 저장되고 인출되는 것 - 근거1) 오기억(false memory): 없었던 일을 회상해내는 기억 로프터스(Loftus, 1997): 어떤 사람은 쇼핑몰에서 가족을 잃어버린 경험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본인은 어렸을 때 쇼핑몰에서 가족을 잃어버린 적이 있었다고 자신 있게 회상하는 일이 있었음을 사례로 제시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