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공동서신인 게시물 표시

공동서신, 그리스도인답게 살아가기 - 연대표와 도표 그리고 지도로 보는 성경전서

이미지
신약성경의 마지막 부분은 8권의 공동서신과 1권의 묵시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공동서신들의 저자들은 그리스도인답게 살아가는 방법에 대해 권면하며 핍박을 견뎌내라고 격려합니다. 요한계시록 역시 핍박 속에서 소망을 붙잡으라고 말합니다. 8권의 공동서신서와 1권의 묵시록     8 권의 공동서신(히브리서~유다서)은 시몬 베드로와 야고보, 요한과 유다를 포함한 다른 사도들과 지도자들에 의해 쓰여졌습니다. 일반 서신들은 초기 그리스도인들에게 바른 길로 인도하고 박해 속에서도 믿음을 지킬 것을 격려하며 잘못된 가르침에 대한 경고를 하기 위하여 쓰여졌습니다. 히브리서 야고보서 저자   미정 주제   히브리 성도들에게 보내는 편지 장소   불확실합니다 시기   주후 60-69년 경 목적   옛 언약인 율법보다 그리스도의 우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장별 개요   1-4장, 그리스도의 우월성   5-10장, 새로운 언약   11-13장, 믿음의 삶 요절   믿음의 주요 또 온전하게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 그는 그 앞에 있는 기쁨을 위하여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러움을 개의치 아니하시더니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셨느니라 (히 12:2)   저자   야고보 주제   유대교 성도들에게 보내는 편지 장소   예루살렘 시기   주후 49년 경 목적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 자신의 신앙을 실천하도록 격려하기 위하여 장별 개요   1-2장, 믿음의 삶을 살아가기   2-3장, 행함 없는 믿음   3-4장, 교훈과 지혜   5장 : 부유함과 기도 요절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너희가 알지니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기도 더디 하라 사람이 성내는 것이 하나님의 의를...

기독교 성경(신약성경)의 기원과 발전 과정, 성경역사 - 문서화 단계

이미지
   기독교 성경, 즉 신약성경도 구전의 단계로부서 시작합니다. 예수님의 행적과 가르치심을 보고 목격했던 제자들과 사람들은 구전을 통하여 예수님에 대한 복음을 초대교회 속에서 전했습니다. 게다가 초대교회의 지도자들은 구전으로 전해진 복음이 더 권위가 있다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히브리성경의 역사와 마찬가지로, 문서화 과정의 필요성이 대두됩니다.    오늘은 기독교 성경(신약성경)의 문서화 단계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기독교 성경의 형성 역사와 정경화 과정, 신약 성경도 구전되었다 이사야 62장 1절-12절, 매일성경큐티와 새벽설교를 위한 본문주석 전도를 돕는 최고의 성경구절 16구절, 전도관련성구모음 기독교 성경(신약성경)의 문서화 단계    여러 가지 상황들 속에서 점차 초기 기독교 전통들 중에 일부를 문서로 기록할 필요가 생겨나기 시작하였습니다. 가장 먼저, 교회는 예수님의 삶에 대한 목격자들의 기록을 문서로 기록할 필요 가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예수님의 제자들, 일명 사도들이 나이가 많아서 혹은 핍박으로 순교하기 시작하자, 교회 공통체는 예수님의 생애와 가르침을 글로써 보존하도록 요청을 받았습니다.    둘째, 일부 초기 기독교인들은 기대했던 것처럼 종말과 주의 재림이 금방 이루어지지 않았고 , 이같은 상황 속에서 현재와 미래를 해석하고 가르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가르침의 사항들이 필요하였습니다.    셋째, 복음이 전파되면서 유대인들의 핍박과 로마의 핍박이 이어지면서, 교회의 지도자들이 관심을 기울이고 해결하고 해석해야만 하는 여러 문제들 이 생겼고, 교회 지도자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편지를 보내게 되었습니다.    넷째, 복음을 전해 듣고 개종한 성도들이 늘어아면서 새로운 성도들에게 기독교 신앙의 기초 를 가르치기 위해 문서화가 진행되었습니다.    신약성경의 첫 번째 기록된 자료는,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