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공의의하나님인 게시물 표시

예레미야애가 1장 12절-22절, 위로할 자가 없도다 - 예레미야애가 강해설교

이미지
예레미야 선지자는 동족인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심판을 받아 멸망 당하는 모습을 보면서 깊은 아픔과 절망을 느끼고 있습니다. 본문의 말씀인 예레미야애가 1장 12절부터 22절을 통하여 그는 주께서 이스라엘을 짓밟으셔서 완전히 멸망 당하고 말았다며 슬퍼하고 있습니다. 이 슬픔 가운데에도 아무도 이스라엘을 위로할 자가 없습니다. 이스라엘의 멸망은 그들의 범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의 결과였습니다. 본문에 대한 강해설교를 요약하였습니다. 예레미야애가 1장 12절-22절, 위로할 자가 없도다 함께 할 찬송 새 찬송가 300장, 내 맘이 낙심되며 위로할 자가 없도다 예레미야는 하나님마저 자기 백성 이스라엘을 짓밟으시고 심판하시면, 이스라엘에게 도움을 줄 자도 없고 위로할 자도 없다고 고통 속에서 외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대적들을 통하여 자기 백성 이스라엘을 치셨기 때문입니다. 이제 이스라엘이 할 일은, 자신들의 죄를 철저히 회개하고 하나님께 엎드려 긍휼을 베풀어 주시길 간구하는 것 뿐입니다. 1. 이스라엘을 짓밟으신 주님 예레미야는 길 가는 사람들에게 자기가 겪은 고생을 슬픔 가운데 토로하고 있습니다.  예레미야애가 1:12, 지나가는 모든 사람들이여 너희에게는 관계가 없는가 나의 고통과 같은 고통이 있는가 볼지어다 여호와께서 그의 진노하신 날에 나를 괴롭게 하신 것이로다 하나님께서 쏘신 불화살과 하나님께 놓으신 올가미로 인하여 자신이 넘어지고 쓰러졌다고 예레미야는 말합니다. 마찬가지로, 하나님께서는 자기의 죄로 인해 무거운 멍에를 매게 하셨으며 사슬에 매여 꼼짝도 못하게 하셨다고 슬퍼합니다. 심지어 하나님께서 포도를 술틀에 넣고 짓밟듯이 예루살렘을 비참하게 짓밟으셨다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2. 도와 줄 이가 없다 이처럼 예루살렘은 적들에 의해 완전히 초토화 되고 짓밟혔지만, 아무도 예루살렘을 도와 주지 않습니다. 예레미야애가 1:16, 이로 말미암아 내가 우니 내 눈에 눈물이 물 같이 흘러내림이여 나를 위로하여 내 생명을 회복시켜 줄 자가 멀리 떠났음이...

[시편 주석] 시편 17편 1절-7절, 진지하고 간곡한 기도 - 주석과 해설 정리

이미지
시편 17편 1절부터 7절까지의 말씀은, 부조리하고 부패한 세상 현실 속에서 정직하고 성실하게 살아가려는 의인이 하나님의 공의를 간구하는 기도의 내용입니다. 악인들이 득세하지만 공의의 하나님은 반드시 심판하십니다. 본문에 대한 주석과 해설을 정리하였습니다. 시편 17편 1절-7절, 진지하고 간곡한 기도 - 주석과 해설 정리 기도의 시편 이 시편은 기도이다. 우는 때와 기뻐하는 때가 있듯이 찬미할 때와 기도할 때가 있다. 다윗은 그 당시에 핍박당하고 있었다. 아마도 그것은 산에 있는 자고()처럼 그를 추적했던 사울에 의한 것이었을 것이다. 외적으로는 싸움이 있었고 내적으로는 두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이 두가지는 그로 하여금 은혜의 보좌로 나아가 간청하도록 만들었다. 그는 이 구절들 속에서 호소하는 방법과("여호와여 정직함을 들으소서." 내 의로운 주장을 주의 법정 앞에 아뢰어 판단받게 하소서), 탄원하는 방법("나의 부르짖음에 주의하소서" 1절. 그리고 다시"귀를 기울여 내말을 들으소서." 6절) 두 가지로 하나님께 그 자신을 아뢰고 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우리의 집요한 간청으로써 압력을 받을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기도에 대한 그의 은혜로운 응답을 진지하게 열망하는 것을 이처럼 표현하도록 허용하셨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하나님께서 청종해 주시기를 탄원하고 있다. 1. 신실한 기도자 그는 신실했으며 그의 기도에 있어서 하나님께 거짓된 것을 말씀드리지 않았다. "그것은 거짓 되지 않은 입술에서 나온 것이옵니다." 그가 의미한 것은 그 말의 내용과 같았으며, 그의 감정은 입에서 나온 표현과 일치했다. 거짓된 기도는 효과가 없다. 그러나 마음으로 기도를 드렸다면 하나님은 은총으로써 그것을 맞아 주실 것이다. 2. 기도는 습관 그는 다른 때에도 기도를 드리곤 했으며, 그로 하여금 제일 먼저 그의 의무를 행하도록 만든 것은 환난이나 위험이 아니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