욥기 34장 16절-30절, 긍휼이 없는 하나님의 통치 - 매일성경 큐티 새벽설교 자료

욥기 34장 16절부터 30절까지의 말씀은 엘리후의 발언입니다. 엘리후는 하나님은 정의로우신 분이며, 모든 사람들의 길을 감찰하시고, 회개하는 자를 용서하시고 구원하신다고 말합니다. 고난의 의미도 담고 있는 본문의 큐티와 새벽설교를 위한 자료를 정리하였습니다. 욥기 34장 16절-30절, 긍휼이 없는 하나님의 통치? 본문의 개요 1 : 엘리후의 주장, 과연 타당한가? 1. 내용 엘리후는 하나님이 결코 실수가 없으신 분이기에, 몸에게 임한 고난도 철저히 '보응원리'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2. 하나님의 즉각적인 심판? 욥은 자신의 무고한 고난과 주변 악인들이 득세하는 상황을 직시하며 하나님의 공의로운 통치를 의심했습니다. 다시 말해 '보응원리(의인은 잘되고 악인은 형벌을 받는다.)가 제대로 구현되지 않는 것 같다고 했습니다. 엘리후는 이런 욥의 주장에 반기를 듭니다. 하나님은 결코 공의를 굽히지 않으신다며 말입니다. 엘리후에 따르면, 하나님은 소위 세상에서 힘 있다는 왕, 지도자, 고관부자라 할지라도 봄의가 드러나면 한밤중에라도 그들의 생명을 거둬가시는 분입니다(18~20), 나아가 사람의 길을 항상 감찰하시고(21), 악행이 드러나면 신속히 심판하십니다(23-25) 하나님은 자신을 떠나거나 불순종하는 자들을 치시고 (26-27), 가난한 자들의 부르짖음을 외면하지않으며(28) 불경건한 자가 권세를 잡지 못하게 하여 백성을 보호하십니다(30) 3. 엘리후의 주장의 문제점 엘리후의 말이 맞다면 세상은 '보응 원리를 따라 악인이 즉각 심판받고 의인은 항상 잘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욥의 상황과 주변의 상황을 놓고 볼 때, 이는 매우 비현실적인 주장입니다. 오늘날에도 보응 원리가 제대로 구현되지 않는 것 같은 모습을 볼 때가 있습니까? 4. 하나님의 개입 시점 그렇다면 엘리후가 말하는 '보응원리'의 문제점은 무엇입니까? 우선 보응원리 자체가 틀렸다고 보아서는 안됩니다. 하나님은 반드시 하나님의 때에 의인과 악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