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나실인규정인 게시물 표시

나실인(נָזִיר, 나지르,ναζιραίους, 나지라이우스)의 정의와 그 규정 - Lexham 사전 인용

이미지
매일성경 본문 중 민수기 6장은 나실인에 관한 규정의 말씀입니다. 하나님께 온전히 헌신한 사람을 뜻하는 나실인은 성경의 여러 인물들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성경에 나타난 나실인의 정의와 그에 대한 규정의 말씀들을 Lexham 사전의 내용을 인용하였습니다. 나실인(נָזִיר, 나지르, ναζιραίους , 나지라이우스)의 정의와 그 규정 나실인이란, 특정한 행동을 금하는 것으로 구별되는 나실인 서약을 한 남성 또는 여성. 주로 구약의 이스라엘 사람들 사이에서 볼 수 있고, 신약의 예도 볼 수 있다. 구약성경의 나실인 서약 "나실인"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용어는 "분리하다"(נזר, 나자르)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에서 유래한다. 민수기 6장은 이 서약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포도 및/또는 술과 관련된 모든 것을 금한다.   •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을 자제한다.   •      죽은 사람을 피한다(가족 구성원 포함). 이 본문은 서약에서 해방되는 단계를 자세히 설명한다. 여러 가지로 규정된 제물을 가져온 후 나실인은 회막 입구에서 머리를 밀고 머리카락을 태운다. 제사장은 포기 제물을 바치고 나실인은 서원에서 해방된다. 두 명의 잘 알려진 구약성경 인물은 아마도 나실인이었을 것이다.   1. 삼손은 구체적으로 나실인이라고 불린다(삿 13:7)   2. 삭도가 사무엘의 머리에 닿지 않을 것이라는 한나의 약속은, 사무엘이 나실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삼상 1:11). 민수기 6장에서 나실인 서약이 일시적인 서약임을 암시하지만, 삼손과 사무엘은 평생 헌신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아모스 2:11-12은 신적으로 부름을 받은 나실인을 보여 주면서 이스라엘 가운데 나실인이 자라날 것이라고 말한다. 선지자는 또한 이스라엘 사람들이 나실인들에게 포도주를 마시게 함으로써 죄를 지었다고 말한다. 신약성경의 나실인 서약 사도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