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네로황제인 게시물 표시

요한계시록 주석 정리, 요한계시록의 저작 시기에 대한 논쟁

이미지
  요한계시록은 마지막 때에 대한 말씀인 동시에, 실제적으로는 로마의 통치 시대에 요한이 기록한 성경입니다. 저작 시기에 대해 크게 네로 황제의 통치기인지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통치기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습니다. 그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요한계시록 서론 요한계시록의 저작 시기 1. 주후 1세기 말 혹은 주후 69년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 요한계시록의 저작 시기를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통치기간(주후 95-96년)인 1세기 말 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일부의 학자들은 주후 68년 네로 황제가 죽은 직후와 70년 예루살렘 함락의 직전인 주후 69년 이라는 날짜에 주목합니다.  주후 69년을 선호하는 일부의 학자들은 네로 통치 시대의 극심한 박해가 요한계시록에 기술된 상황과 더 부합된다고 주장합니다. 게다가 그들은 주후 69년이라는 날짜가 특정한 구절들을 더 잘 읽을 수 있게 도와 준다고 주장합니다. 예를 들어, 11장 1절-2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방인들이 성전의 뜰을 짓밟은 사건(70년에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되기 전), 13장 18절의 짐승의 숫자(666이 네로를 암호로 지칭할 수가 있다는 점), 17장 10절-11절의 짐승의 머리가 일곱 개 등이 그것입니다.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주장이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주후 1세기 말이라는 날짜가 가능성이 더 높다고 여겨집니다. 2. 외부적인 증거 외부적인 증거는 늦은 날짜를 더 지지합니다. 요한의 제자였던 폴리캅의 제자인 이레네오(2세기 후반)는 요한계시록에 대해 '그것은 도미티아누스의 통치 말기에 처음 우리 세대에게 주어졌다'라고 기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초기 교회의 교부들은 이같은 전통을 따릅니다. 또한 11:1-2; 13:18; 17:10-11과 같은 특정한 본문은 도미티아누스 치세의 상황으로 보는 것이 유익합니다. 추가적으로, 일곱 교회들의 상황은 모두 성장기에 있으며, 니골라 당과 같은 거짓 교사들이 등장했으며, 일부의 성도들이 영적으로 부패한 모습이 나타납니다(에베소,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