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복음 1장 15절에 나타난 '성령의 충만함'에 대한 두 가지 설명

제사장의 직무를 행하고 있는 사가랴에게, 천사가 나타나 아들을 낳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 아들이 바로 세례 요한인데, 천사는 세례 요한이 성령의 충만함을 모태에서부터 받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천사가 말한 '성령의 충만함'에 대한 두 가지 설명입니다. 누가복음 1장 15절에 나타난 '성령의 충만함'에 대한 두 가지 설명 누가복음 1장 15절 이는 그가 주 앞에 큰 자가 되며 포도주나 독한 술을 마시지 아니하며 모태로부터 성령의 충만함을 받아 성령의 충만함에 대한 두 가지 설명 그렇다면 성령의 충만함을 받는다는 말은 무슨 의미인가? ‘충만’에 대한 그리스어 동사는 ‘핌플레미(가득하게 하다)’이지만 성령과 관련된 형용사 ‘플레레스’(충만한)’도 있다. 그 동사는 문자적 의미로 사용되었다(눅 5:7, 1:23). 그러나 그 동사의 비유적 용례를 살펴 보고자 한다. 1. 감정의 충만 인간은 감정의 존재이고 감정은 불시에 닥쳐온다. 예수의 말씀을 경청한 후에 나사렛 사람들은 분노했고(눅 4:28 “분[두모스]이 가득하여”) 예수를 죽이려고 시도했다. 예수께서는 안식일에 한 사람을 치유하셨고 유대 지도자들은 화를 냈다(눅 6:11 “분기[아노이아]가 가득하여”). 그리고 그분을 어떻게 처리할지 모의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또한 제자들이 하는 일을 보고 적개심과 시기(indignation[젤로스])가 가득하여(행 5:17) 그들을 체포했다. 에베소에서 폭도들은 분노했고 온 도시에 큰 소란이 일어났다(행 19:29 “요란하여”). 어떤 때에 사람들은 선한 감정으로 가득했다. 예수께서 중풍병자를 고치셨고 “모든 사람이 놀라”(눅 5:26 경외감[포보스]) 버렸다. 베드로는 앉은뱅이 걸인을 치유했다. 그리고 사람들은 두려움(“기이히 여기며”[담보이아])과 충격(“놀라니라”[엑스타시스])에 빠졌다(행 3:10). 사람들이 감정에 충만할 때 그 감정이 그들을 통제하고 그들을 특별한 행동으로 이끈다는 것을 이런 예를 통해 알 수 있다. 힘은 외부에서 오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