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다산의 마음인 게시물 표시

고난 앞에서도 인간적이었던 다산의 일생, '다산의 마음' 책 요약 서평

이미지
    흔히 글을 보면 그 사람의 인품과 마음과 사상을 알 수 있다고들 합니다. 그래서 바른 성품을 가진 사람이 글을 쓰면 따뜻하고 정의로운 글이 나옵니다. 반대로 어두운 성품의 사람이 글을 쓸 때, 그 작품은 음습한 기운이 묻어 나오기 마련입니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대학자였던 다산 정약용 선생 은, 제가 존경하는 학자이면서도 사상가입니다. 그의 글에는 힘차게 전진하는 느낌과 가만히 어깨에 손을 올릴 것 같은 따스함이 느껴집니다. 그래서 요즘 읽고 있는 책들이 다산과 관련된 책들입니다.    목민심서를 천천히 읽고 있는데, 그 중에 율기6조에 담긴 그의 뜻과 애민정신은 읽어갈수록 감동입니다. 어느 시대에도 이와 같은 마음을 가진 지도자가 있었을까 싶을 정도입니다. 다산 정약용(丁若鏞)     비록 18년의 유배 생활 동안의 고초와 아픔들을 겪었지만, 명실상부하게 조선 후기의 대학자이자 실학자로서의 큰 족적을 남겼습니다. 학자이면서 책도 많이 기록하였고, 건축 분야에서도 새로운 기술을 많이 발명한 발명가와도 같은 인물입니다.    서양으로 치면,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유사하다고 할까요? 주체적이고 합리적인 세계관을 가지고 실학의 선두 주자였습니다. 목민심서나 경세유표, 흠흠신서 등의 책과 함께 약 500여권의 책을 기록한 인물입니다. 책 서평    간단하게 요약할 " 다산의 마음" 은, 정약용의 산문들 중에 핵심적인 사상과 감수성이 담긴 글들을 엮은 책입니다. 편역은 박혜숙 교수가 작업하였습니다. 이 책을 통하여, 아마도 편역자는 다산 정약용 선생의 인간적인 모습 을 알리고 싶어 했던 것 같습니다.    팍팍하고 거칠고 이기적인 세상 속에서, 다산 정약용 선생의 내면에 있던 깊은 감성과 그만이 겪었던 불안과 고독까지 이 책을 통해 담아 내었습니다. 위대한 인물이었던 다산 정약용 선생도 먼 곳의 태산과도 같이 우뚝 솟은 인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