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동해보복법인 게시물 표시

출애굽기 21장 22절-25절, 태아는 생명체인가, 동해보복법을 근거로 정의한다면? - 성경사전

이미지
뱃속에 들어 있는 태아는 생명체일까요, 아니면 아직 생명체 이전의 상태일까요? 출애굽기 21장 22절-25절의 구절은 이 부분에 대한 율법의 견해를 가르쳐 줍니다. 태아가 생명체인지의 규정에 따라 그 이후의 법률적인 보상이나 처벌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태아는 생명체인가, 동해보복법을 근거로 정의한다면? 동해보복법에 대한 적용을 할 때, 제일 고민이 되는 부분 중에 하나가 "태아"에 대한 부분입니다. 태아를 완전한 생명체로 인식한다면, 태아의 사망은 곧 살인죄에 해당됩니다. 하지만 태아가 완전한 생명체가 아니라면, 배상으로 마무리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태아를 어떻게 정의하는 것이 좋을까요? 또 그에 따른 동해보복법은 그대로 적용이 되었을까요? 성경 구절 출애굽기 21:22-25 , 사람이 서로 싸우다가 임신한 여인을 쳐서 낙태하게 하였으나 다른 해가 없으면 그 남편의 청구대로 반드시 벌금을 내되 재판장의 판결을 따라 낼 것이니라 그러나 다른 해가 있으면 갚되 생명은 생명으로, 눈은 눈으로, 이는 이로, 손은 손으로, 발은 발로, 덴 것은 덴 것으로, 상하게 한 것은 상함으로, 때린 것은 때림으로 갚을지니라 이 구절들의 상황 이 구절들에는 해석하기가 어려운 구절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절들은 최소한 두 남자들이 서로 싸우는 상황과 관련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서로 싸우는 과정에서, 고의는 아니지만, 옆에 있던 어떤 임신한 여인이 다치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로 태아가 일찍 태어나거나, 또는 낙태될 가능성이 생기고 말았습니다. "태아"에 대한 히브리어 원문의 표현은 '옐라데이하'(ילדיה, 그녀의 아이들)인데, 이 말은 태아가 복수(children)임을 암시합니다. 아마도 태아의 숫자가 경우에 따라 다를 수도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복수로 표현되었을 것입니다. 이 표현은 태아가 한 명이거나 또는 그 이상일 수도 있다고 암시해 줍니다. 이 구절들의 전통적인 견해 - 배상에 대하여 이 점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