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신학사전] 멸망과 죽음을 뜻하는 스올의 단짝인 아바돈 (אבדון)
.jpg)
고난과 고통 속에 있던 욥은, 자신의 상황을 지옥 혹은 멸망의 상황 속에 있다고 괴로워 하였습니다. 이 때 욥이 사용한 히브리어 단어가 바로 "아바돈"입니다. 아바돈은 파괴와 멸망을 뜻하며, 이 말 자체가 "멸망하다"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또한 스올과 같이 쓰였습니다. 아바돈 (אבדון) 정의 및 어원 아바돈은 히브리어로 "파괴" 또는 "파멸의 장소"를 의미하며, 이 단어는 히브리어 동사 אבד(멸망하다, 파멸하다)에서 유래했습니다. 구약 성경에서는 아바돈이 파멸의 장소로 자주 언급되며, 이는 죽은 자의 세계인 스올(Sheol)과 밀접하게 연관됩니다. 성경의 언급 첫째, 구약 성경에서의 언급 아바돈은 구약 성경에서 다섯 번 등장합니다: 욥기 26:6: 스올은 그 앞에 벗은 몸으로 드러나고 멸망도 가림이 없느니라 욥기 28:22: 멸망과 사망이 이르기를 우리의 귀로 그 소문을 들었다 하느니라 욥기 31:12: 이는 멸망까지 삼키고 나의 모든 소산을 뿌리 뽑을 것이니라 잠언 15:11: 스올과 아바돈도 여호와 앞에 드러나거든 하물며 사람의 마음이리요 시편 88:11: 주의 인자하심이 무덤에서 선포되며 주의 성실하심이 멸망 중에서 선포되리이까 이 구절들에서 아바돈은 항상 스올과 함께 언급되며, 이는 아바돈이 죽은 자의 세계 또는 파멸의 장소로 이해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합니다. 둘째, 신약 성경에서의 언급 신약 성경에서는 아바돈이 요한계시록 9:11에서 언급됩니다. 여기서 아바돈은 무저갱(밑바닥 없는 구덩이)의 천사로, 그의 이름은 그리스어로 아폴리온(Apollyon, 파괴자)입니다. 아바돈은 무저갱에서 나오는 해충 떼의 왕으로 묘사됩니다. 신학적 해석 아바돈은 유대교와 기독교 신학에서 파괴와 죽음의 개념과 깊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유대교 주석에서 아바돈은 스올과 함께 언급되며, 이는 죽은 자의 세계로 해석됩니다. 기독교 신학에서는 아바돈이 종말과 영적 전쟁과 관련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지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