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바벨론느부갓네살의꿈인 게시물 표시

다니엘 2장의 느부갓네살이 꿈에서 본 신상과 다니엘의 신상 해석

이미지
다니엘 2장에는 바벨론의 느부갓네살이 꿈에서 꾼 신상의 내용이 나옵니다. 왕은 자신이 꾼 꿈의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지만, 다니엘은 하나님의 은혜로 신상의 모습과 그 상징들을 해석합니다. 다니엘의 신상 해석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다니엘 2장의 느부갓네살이 꿈에서 본 신상과 다니엘의 신상 해석 금 머리 : 바벨론(신바빌로니아, Neo-Babylonia) : 605∼539 B.C. 금은 바벨론에서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는 금속이었다. 예레미야는 바벨론을 “금잔”으로 묘사하였다(렘 51:7). 헤로도투스는 신상, 왕이 앉은 보좌, 상과 제단 모두가 금으로 만들어졌다고 아낌없는 찬사로 바벨론을 묘사한다(Herodotus i. 181, 183, iii. 1-7). 플리니우스(Pliny)는 제사장들의 예복을 금으로 섞어 짠 것으로 언급한다. 느부갓네살은 고대의 왕들 가운데 두드러진 인물이었다. 다음의 명각에서 언급한 것처럼 그는 자기 후계자에게 거대하고 부유한 왕국을 남겼다. “위 바다[부터] 아래 바다[까지] (한 줄이 파손되었음) … 나의 주(主) 마르둑이 내게 위탁한 것, 나는 바벨론 도성을 모든 나라들과 모든 인간의 거주지 중에 최고로 만들었다. … 나는 그 이름을 거룩한 도성들 가운데 [가장] 찬양[할 만한] 것으로 [만들었다 또는 높였다]. … 항상 … 현명한 (통치자와 같은) … 나의 주 느보와 마르둑의 신전들 … .나의 나부 마르둑은 하늘과 땅의 통치자의 왕궁을 위해 적절한 장식을 [원했다], 외국의 적이 (그것을) 통치하고 (그것의) 부를 도적질하고 있는 (이 레바논)-그것의 백성은 흩어졌고 먼 (지역으로) 도망했다. 나의 주 느보와 마르둑의 능력을 신뢰하면서 나는 레바논까지 가는 하나[의] [원정을] 위해 [내 군대를] 조직했다. 나는 어디서나 그것의 적을 근절하여 그 나라를 행복하게 만들었다. 그것의 모든 흩어진 거민들을 나는 그들의 정착지로 다시 인도해 들였다. 이전의 왕이 행하지 않은 것을 (나는 성취했다). 나는 가파른 산맥을 관통했고 바위를 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