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복음주의인 게시물 표시

동성애, 교회에 길을 묻다: 진리와 사랑 사이, 복음주의의 연구 결과

이미지
우리 교회 성도들 중에 동성애자가 있다면, 우리는 그 사람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기독교와 동성애 논쟁의 핵심을 확인하며 그 해답을 찾아 보고자 합니다. 성경 본문에 대한 주해부터 '하나님의 형상', '죄'에 대한 신학적 고찰, 그리고 예수님의 사역에 기초한 목회적 대안까지. 복음주의 교회가 진리와 사랑 안에서 성소수자들을 이해하고 동행할 수 있는 균형 잡힌 가이드를 제시합니다. 동성애, 교회에 길을 묻다: 진리와 사랑 사이, 복음주의의 연구 결과 기독교 동성애자를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5개의 핵심 내용 1. 창조 질서,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해석의 갈림길 동성애 논쟁의 가장 근본적인 대립은 창세기 1-2장 해석에서 시작됩니다. 전통적 관점은 남자와 여자의 결합을 모든 성윤리의 '원형적 규범'으로 봅니다. 이성 간의 보완성은 하나님의 창조 질서의 본질이라는 것입니다. 반면, 새로운 관점은 이를 관계를 통한 외로움 극복의 '패러다임'으로 해석합니다. 모든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사랑의 관계를 추구하는 것이 핵심이며, 성별의 차이는 부차적일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이 해석의 차이가 성경 전체를 읽는 렌즈를 결정합니다. 2. 금지 구절, 문자 너머의 의미를 찾아서 레위기와 바울 서신에 등장하는 동성애 금지 구절들은 논쟁의 중심에 있습니다. 전통적 해석은 이를 시대를 초월하는 보편적 도덕법으로 간주합니다. 그러나 수정주의적 해석은 본문의 역사·문화적 맥락을 강조하며, 이 금지 조항들이 이방의 우상숭배적 관습 , 가부장적 명예-수치 문화 속 착취적 행위 , 또는 특정 상업적 성 착취를 겨냥했을 가능성을 제기합니다. 원어('토에바', '아르세노코이타이' 등)의 의미와 번역의 역사 또한 복잡하여, 신중한 접근이 요구됩니다. 3. 끌림은 죄인가, 유혹인가: 목회적 방향을 가르는 신학 동성애적 '행위'를 죄로 보는 전통적 입장 내에서도, 비자발적인 동성애적 ...

하나님의 어머니? 복음주의가 놓쳐선 안 될 '테오토코스' 5가지 핵심

이미지
'하나님의 어머니'(테오토코스) 칭호는 마리아 숭배일까? 많은 복음주의자들이 오해하는 이 칭호의 진짜 의미를 파헤칩니다. 이 글은 테오토코스가 예수 그리스도가 참 하나님이심을 고백하는 핵심 기독론임을 5세기 교회 논쟁, 종교개혁, 현대 신학의 관점을 통해 증명합니다. 성육신 신앙의 본질을 지키는 5가지 핵심을 통해 균형 잡힌 성경적 마리아 이해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하나님의 어머니? 복음주의가 놓쳐선 안 될 '테오토코스' 5가지 핵심 1. '테오토코스', 마리아가 아닌 그리스도를 위한 칭호 '하나님의 어머니'라는 뜻의 '테오토코스'(Theotokos)는 마리아를 신격화하는 표현이 아니라,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가 누구이신지를 정확하게 고백하는 기독론의 핵심입니다. 이 칭호의 본질은 "마리아가 낳은 아들이 참 하나님이시다"라는 신앙 선언에 있습니다. 초기 교회는 마리아가 신성의 근원이라고 가르친 것이 아니라, 그녀가 낳은 예수가 잉태 순간부터 완전한 하나님이자 완전한 인간인 한 인격, 즉 성자 하나님 자체임을 강조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따라서 '테오토코스'를 고백하는 것은 마리아를 높이는 행위가 아니라, 예수님의 완전한 신성과 인성의 위격적 연합을 인정하고 성육신의 신비를 수호하는 가장 확실한 신앙고백입니다. 2. 5세기 기독론 논쟁의 중심에 서다 '테오토코스' 칭호는 5세기 교회를 뒤흔든 기독론 논쟁의 기폭제였습니다.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 네스토리우스는 "인간 마리아가 어떻게 영원한 하나님을 낳을 수 있는가?"라고 반문하며, '그리스도를 낳은 자'(크리스토토코스)라는 칭호를 주장했습니다. 그의 논리는 마리아가 인간 예수를 낳았고, 이후 신적인 로고스가 그와 결합했다는 것으로, 이는 그리스도의 인격이 둘로 나뉜다는 치명적인 오류를 낳았습니다. 이에 맞서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는 '위격적...

요한계시록의 수수께끼: 요한계시록 11장 16절의 '이십사 장로'의 정체(복음주의와 교부들의 해석을 중심으로)

이미지
요한계시록의 핵심 미스터리, '이십사 장로'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이 글은 24장로가 구원받은 교회의 영광스러운 대표자인지, 혹은 천사적 존재인지에 대한 깊이 있는 신학적 분석을 제공합니다. 현대 복음주의와 초기 교부들의 해석을 비교하며 그 상징적 의미와 오늘날 성도에게 주는 메시지를 명확하게 밝힙니다. 요한계시록의 수수께끼: 요한계시록 11장 16절의 '이십사 장로'의 정체(복음주의와 교부들의 해석을 중심으로) 참고할 글 요한계시록 11장 14절-19절, 왕이신 하나님께 경배하라 - 매일성경 큐티 새벽예배설교문 요한계시록 11장 14절-19절, 아무리 힘들고 어려워도 - 매일성경 큐티 10분 새벽설교 서론: 천상 예배의 중심에 선 미스터리의 인물들 요한계시록은 장엄하고 신비로운 이미지로 가득 찬 책입니다. 그중에서도 4장과 5장에 묘사된 하나님의 보좌 앞 광경은 독자를 압도하기에 충분합니다. 영광스러운 보좌를 중심으로 네 생물과 수많은 천사가 끊임없이 하나님을 찬양하는 그곳에, 우리에게 한 가지 질문을 던지는 특별한 그룹이 등장합니다. 바로 흰 옷을 입고 머리에 금관을 쓴 채 자신의 보좌에 앉아 있는 ‘ 이십사 장로(the twenty-four elders) ’입니다. 이들은 요한계시록 11장 16절에서 " 하나님 앞에서 자기 보좌에 앉아 있던 이십사 장로가 엎드려 얼굴을 땅에 대고 하나님께 경배하 "는 모습으로 다시 등장하며, 계시록 전체에 걸쳐 하나님의 주권과 어린 양의 구속 사역을 찬양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성경은 이들의 정체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습니다. 과연 이십사 장로는 누구일까요? 천사일까요, 아니면 구원받은 인간일까요? 본 소논문은 이 오래된 신학적 질문에 답하기 위해, 현대 복음주의 신학계의 주요 해석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더 나아가 초기 기독교 교부들의 목소리를 통해 그 역사적 뿌리를 추적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십사 장로가 상징하는 신학적 의미와 그것이 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