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빌립보서2장3절인 게시물 표시

빌립보서 2장 3절, 링겔만의 효과, 나 한 사람쯤이야 - 오늘의큐티

이미지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에 어울려 살기 좋아하며 협동하기 좋아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이기적인 생각으로 인하여 공동체가 무너지게 되는 일도 있습니다. 지금 소개하려는 링겔만의 효과는 우리 인간에 대한 씁쓸한 생각을 가지게 만듭니다. 나 한 사람의 힘에 대한 오늘의 큐티를 나눕니다.  나 한 사람쯤이야 오늘의 말씀 아무 일에든지 다툼이나 허영으로 하지 말고 오직 겸손한 마음으로 각각 자기보다 남을 낫게 여기고 (빌립보서 2장 3절, 개역개정 성경)  오늘의 찬송 새찬송가 525장, 돌아와 돌아와 오늘의 큐티 심리학자 링겔만은 '1+1=2' 라는 법칙이 사람 사이에서도 적용되는지를 실험했다고 합니다. 링겔만은 먼저 한 사람씩 줄다리기를 시켜서 내는 힘을 각각 100으로 측정했습니다. 그렇다면, 이론에 따르면 두 사람이 줄다리기를 할 때는 200의 힘이 나와야 되고, 4명 이 할 때는 400의 힘이 나와야 합니다. 수학적 계산이며 우리가 예측할 수 있는 계산입니다. 혹은, 상승효과(시너지 효과) 때문에 계산보다 더 높은 힘이 나와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실험을 거듭할수록 전혀 예상하지 못한 이상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사람이 늘수록 총 힘의 합이 급격히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2명이서 일을 할 때는 원래 예상치의 93% 정도의 힘이 측정되었습니다. 또 3명일 때는 85%, 8명일 때는 고작 49%의 힘밖에 나오지 않았다고 합니다. 링겔만은 이와 같은 이상한 결과를 놓고서 그 이유를 찾고자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였습니다. 그리고 결국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렸습니다. 혼자서 일을 할 때에는 혼자서 그 일을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최선을 다하거나 능력보다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됩니다. 하지만 혼자가 아닌, 여러 사람이 함께 할 때에는 우리의 마음에 '굳이 내가 아니어도' 라는 생각이 들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리고 그와 같은 생각을 하게 되는 환경이 조성될수록, 각 개인이 내는 힘은 점점 줄어 들었습니다.  이 연구를 일반적으로 ' 링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