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로교 정치 형성사] 1. 존 칼빈의 교회 정치론 - 성경, 신학, 그리고 장로교의 청사진 - 제직 교육 자료
존 칼빈의 장로교 정치론을 탐구합니다. 구약의 장로 제도와 산헤드린, 신약의 '장로-감독' 직분에서부터 제네바의 4중 직분론(목사, 교사, 장로, 집사)까지, 장로교 정치의 성경적 근거와 '그리스도 주권'의 신학적 의미를 5가지 핵심으로 요약, 정리합니다. 새해에 진행할 제직 교육을 위한 첫 번째 자료입니다. 존 칼빈의 교회 정치론 - 성경, 신학, 그리고 장로교의 청사진 존 칼빈, 장로교의 청사진을 그리다: 성경에서 제네바까지 1. 구약의 원형: 모세와 70인의 장로 (זְקֵנִים) 장로교 정치의 뿌리는 구약의 '장로'(זְקֵנִים) 제도에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나이가 아닌 지혜를 갖춘 지도자를 의미했습니다. 하나님은 민수기 11장에서 모세의 리더십을 70인의 장로에게 위임하며 성령의 권능을 분배하셨고 , 출애굽기 18장에서는 이드로의 조언에 따라 사법적 기능을 위임받은 장로들이 단계별 사법 체계의 원형이 되었습니다. 2. 대의제의 구조: 산헤드린 시스템 구약의 장로 제도는 신약 시대 '산헤드린'(Sanhedrin) 시스템으로 발전했습니다. 랍비 문헌에 따르면, 이는 23명의 소(小)산헤드린과 71명의 대(大)산헤드린으로 구성된 명백한 '단계별 법원' 시스템이었습니다. 이 '회의'를 통한 '대의적' 통치 원리는 교황의 독재를 거부한 종교개혁가들에게 성경적 통치 모델을 제공했으며 , 훗날 장로교의 당회, 노회, 총회 구조의 원형이 되었습니다. 3. 신약의 확립: 장로(πρεσβύτερος)와 감독(ἐπίσκοπος) 장로교 정치는 신약의 '장로'(πρεσβύτερος)와 '감독'(ἐπίσκοπος)을 동일한 직분으로 보는 성경 주해에 기반합니다. 사도행전 20장에서 바울은 에베소의 '장로들'(17절)을 '감독자들'(28절)이라 부르며 두 용어를 교차 사용했습니다. 디도서 1장 역시 '장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