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산헤립인 게시물 표시

산헤립의 예루살렘 정복기, 성경의 기록과 테일러 프리즘(Taylor Prism)의 기록의 차이

이미지
많은 고고학자들이 성경의 역사성에 대해 의심하면서 고고학적인 자료들을 찾아 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어떤 자료들은 성경의 내용에 부합하고, 또 다른 자료들은 혼란을 가중시키기도 합니다. 여기에 산헤립의 예루살렘 정복기를 보여 주는 테일러 프리즘이 발견되었습니다. 산헤립의 예루살렘 정복기, 성경의 기록과 테일러 프리즘(Taylor Prism)의 기록의 차이 구약성경 이사야 36장부터 39장까지의 말씀은 하나님의 주권에 관한 말씀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앗수르의 산헤립이 유다를 침공하여 46개의 성읍들을 포위하고 예루살렘마저 포위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남유다를 산헤립의 손에서 극적으로 구원해 내셨습니다. 산헤립의 침공과 성경의 기록 산헤립이 유다를 공격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산헤립의 패전: 성경에 나오는 앗시리아 왕 산헤립이 유다 왕국의 예루살렘을 공격하였다가 하나님의 주권적인 개입하심으로 철저하게 패배하였습니다. 그는 모든 군사를 잃고 초라한 모습으로 고국으로 돌아갑니다. 산헤립의 최후: 산헤립이 신전에서 우상에게 절하다가 자신의 아들들에게 살해 당하고, 그 아들 에살핫돈이 왕이 된다는 성경과 역사의 기록입니다. Taylor Prism의 발견과 내용 1. Taylor Prism의 발견 성경의 기록과는 정반대의 내용이 기록된 Taylor Prism은 앗시리아 왕 산헤립이 자신의 정복 행적을 적어놓은 육각기둥 프리즘입니다. 이 프리즘은 런던의 영국 박물관, 시카고의 오리엔탈 연구소, 그리고 예루살렘의 이스라엘 박물관에 각각 보관되어 있습니다. 이 프리즘은 산헤립이 예루살렘을 공격한 결과를 기록하고 있는데, 성경과는 정반대의 내용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프리즘은 아카드어로 쓰여져 있으며, 689년 또는 691년에 산헤립의 재위 기간 중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 프리즘은 육각기둥으로, 빨간 벽돌로 만들어졌으며, 높이 38.0cm와 너비 14.0cm입니다. 이 프리즘은 아시리아 연구에서 분석된 가장 초기의 유물 중 하나입니다. ...

사도행전 19장 23절-41절, 하나님만 우리의 피난처입니다 - 사도행전 강해설교

이미지
생명의 삶 큐티 본문인 사도행전 19장 23절부터 41절까지의 말씀은, 에베소에서 퍼져 나가는 복음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가져 온 위기에 대해 기록하고 있습니다. 재물 때문에 복음을 방해하는 사람들의 위협이 있었지만, 하나님은 자신의 종들의 유일한 피난처가 되셨습니다. 본문의 말씀을 큐티하고 우리의 유일한 피난처가 되시는 분은 하나님 뿐이심을 강해설교로 정리하였습니다. 사도행전 19장 23절-41절, 하나님만 우리의 피난처입니다 본문으로 들어가기 바울을 통하여 주님의 능력이 나타나고, 많은 이들이 자복하고 결단의 행동을 보였습니다. 복음이 에베소에 전파되어 모든 것이 형통한 듯 보였습니다. 하지만, 복음의 전파 속에는 항상 위기와 고난이 찾아 오기 마련입니다. 데메드리오라는 사람이 무리를 선동하고 바울의 동역자인 가이오와 아리스다고를 위협하기에 이릅니다. 오늘 본문을 통하여 우리는 무엇을 깨달을 수가 있겠습니까? 하나님만 우리의 피난처입니다 1. 손해를 참지 못하는 데메드리오 예수님의 복음이 에베소에 전파되며,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께 돌아오게 됩니다. 놀라운 기적 속에서, 자신의 손해 때문에 복음을 방해하는 사람이 나타났습니다. 그 사람의 이름은 아데미 신상을 만드는 데메드리오라는 사람이었습니다. 사도행전 19:24, 즉 데메드리오라 하는 어떤 은장색이 은으로 아데미의 신상 모형을 만들어 직공들에게 적지 않은 벌이를 하게 하더니 에베소 사람들이 섬겼던 아데미(Ἄρτεμις, 아르테미스) 여신은 풍요와 다산의 여신이었으며, 아데미 여신을 위한 엄청난 규모의 신전도 건축하였습니다. 특히, 은으로 아데미 신전의 모형을 만들어 팔며 데메드리오는 많은 경제적인 이득을 거두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사도 바울이 전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때문에 사람들이 예수님께 돌아서고 마술사들까지 개종하여 경제적 이득이 줄어 들게 되었습니다. 경제적인 손해 때문에 복음을 방해하는 데메드리오는 어리석은 사람입니다. 우리의 선택은 어디에 있습니까? 경제적인 이득에 있습니까, 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