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서기관인 게시물 표시

마태복음 15장 1절-9절, 경계하시는 하나님 - 마태복음 강해 설교

이미지
마태복음 15장 1절부터 9절까지의 말씀은, 유대교 지도자들이었던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이 율법의 문자적 규정을 중요하게 여겼던 위선적인 사람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들은 예수님께 율법의 문자적 해석을 질문했고, 예수님은 그들의 외식을 경계하신 장면을 강해 설교로 정리하였습니다. 마태복음 15장 1절-9절, 경계하시는 하나님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께 나아가 병고침을 받을 때에,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은 엉뚱한 질문을 가지고 예루살렘에서 게네사렛까지 찾아왔습니다. 이들은 거짓된 일에 한없이 부지런한 사람들이었습니다. 이들의 어리석은 질문을 들으신 예수님은, 제자들과 사람들에게 경계의 말씀을 주셨습니다. 첫째, 주님은 형식주의를 경계하셨습니다. 하나님의 말씀보다 장로들의 유전을 중시하는 자들이 예수님께 찾아와 이렇게 말했습니다. 마태복음 15:2, 당신의 제자들이 어찌하여 장로들의 전통을 범하나이까 떡 먹을 때에 손을 씻지 아니하나이다 유대인은 모세가 시내산에서 율법과 더불어 유전도 받았다고 믿으며 이 구전은 성문 율법을 설명하는 것으로 더욱 유명하게 여겼습니다. 또한 랍비들은 율법 외에 많은 규칙들을 유전 받았다고 주장합니다. 손을 씻는 유전도 랍비들이 만들어낸 것이지만 이것을 어기는 자는 이단시했었습니다. 위생상으로 손을 씻는 것이 좋은 일이라 하여도 이것이 사람들을 억압하는 짐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예수님은 그들이 유전 때문에 하나님의 계명을 범하는 것을 꼬집으셨습니다. 모세의 율법은 네 부모를 공경하라고 가르치지만, 이들은 부모에 대한 의무를 벗어버리려고 '고르반'이라고 하기만 하면 부모 공경의 의무에서 해방되었습니다. 이는 '하나님께 바친다'는 뜻으로 재산을 성전에 바친다고 서약만 하고 자기 마음대로 사용하였던 것입니다. 우리 예수님은 이같은 장로들의 형식주의를 경계하셨습니다. 진실하고 온전한 신앙을 가지고 살아갑시다. 둘째, 외식주의를 경계하셨습니다. 형식이 겉치레라고 한다면, 외식은 속과 겉이 다른 것을 의미합니다. 입술과 마음이 각각...

마태복음 12장 38절-45절, 요나의 표적 - 마태복음 강해 설교

이미지
마태복음 12장 38절부터 45절까지의 말씀은, 예수님을 비난하고 의심하던 이들에게 예수님이 하나님의 독생자이시며 인류의 구원자이심을 설명하신 내용입니다. 요나의 표적을 통하여 주께서 죽으셨다가 부활하실 것임을 설명하신 본문에 대한 강해 설교를 요약하였습니다. 마태복음 12장 38절-45절, 요나의 표적 바리새인들은 예수께서 귀신들려 눈이 멀고 벙어리가 된 사람을 고쳐주는 표적을 귀신의 왕 바알세불에서 온 것이라고 비난하였습니다. 그때 서기관과 바리새인 중 몇 사람이 예수님을 찾아와 '당신이 하나님의 아들'이면 메시야가 되는 결정적인 표적이 무엇인지 보여달라고 요청하였습니다.  첫째, 표적을 구하였다. 마가복음 8장 12절에 보면, 표적을 구하는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은 예수님을 힐난하며 그를 시험하기 위하여 표적을 구했다고 하였습니다.  마태복음 12:38, 그 때에 서기관과 바리새인 중 몇 사람이 말하되 선생님이여 우리에게 표적 보여주시기를 원하나이다 그러므로 예수님은 표적을 구하는 저들을 향하여 "악하고 음란한 세대가 표적을 구한다"고 책망 하셨습니다. "표적"이란, 헬라어로 " σημεῖον "(세메이온)이며, 그 뜻은 "기적" 혹은 "증거"입니다. 그러므로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은 예수님을 믿지 않고 증거를 요구하였습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악하다 함은 사악한 심성을 의미하며, 음란하다 함은 하나님에 관하여 신앙 정조를 지키지 못했다는 뜻입니다(렘 3:6).  둘째, 예수님께서 보여 주실 표적 예수님은 그들에게 선지자 요나의 표적밖에는 보일 표적이 없다라고 대답 하셨습니다. 마태복음 12:39,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악하고 음란한 세대가 표적을 구하나 선지자 요나의 표적 밖에는 보일 표적이 없느니라 하나님께서 요나에게 앗수르의 수도인 니느웨로 가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라고 하셨습니다. 하지만 요나는 다시스로 도망하다가 풍랑으로 바다에 던지움을 당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