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성경의냄비인 게시물 표시

출애굽기 27장의 '대야'와 출애굽기 30장의 '물두멍'의 차이 - 성경사전

이미지
성경에는 물을 담는 그릇에 대한 다른 표현이 나옵니다. 특히 성막이나 성전에 사용되는 물 그릇은 대표적으로 두 가지의 종류가 나옵니다. 출애굽기 27장에는 '대야'로, 출애굽기 30장에는 '물두멍'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이 두 단어는 히브리어와 헬라어도 다르며 용도도 조금 달랐습니다. 출애굽기 27장의 대야와 30장의 물두멍 대야와 물두멍    출애굽기에 나타나는 대야와 물두멍은 모두 물을 담아 두는 그릇으로써, 손발을 씻는 용도로 쓰였습니다. 하지만 히브리어가 다르며 그에 따른 헬라어도 차이점이 있습니다. 더 나아가, 재료나 크기도 달랐습니다. 두 가지 물을 담는 그릇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였습니다. 대야 히브리어 및 헬라어    냄비 혹은 대야, Basin מִזְרָק(미즈라크),  νιπτήρ (니프테르) 성경구절 출애굽기 27:3, 재를 담는 통과 부삽과 대야 와 고기 갈고리와 불 옮기는 그릇을 만들되 제단의 그릇을 다 놋으로 만들지며 사무엘상 2:14, 그것으로 냄비 에나 솥에나 큰 솥에나 가마에 찔러 넣어 갈고리에 걸려 나오는 것은 제사장이 자기 것으로 가지되 실로에서 그 곳에 온 모든 이스라엘 사람에게 이같이 할 뿐 아니라 해설    가정용으로 사용하거나 공식적인 용도로 사용하던 다양한 크기의 속이 빈 그릇이나 컵 혹은 접시들을 모두 가리키는 말입니다. 오늘날의 그릇들 중에 '보울'(Bowl)과 같은 모양으로 추정이 됩니다. 요한복음 13:5, 이에 대야 에 물을 떠서 제자들의 발을 씻으시고 그 두르신 수건으로 닦기를 시작하여    이러한 그릇은 일반적으로 흙으로 빚어 구운 도자기인 경우가 많았지만, 놋쇠(출 27:3)나 은(민 7:13), 그리고 금(대하 4:8)으로도 만들어지곤 했었습니다. 가장 큰 냄비는 잔치에서 사용하는 용도나 포도주를 담는 용도였으며, 성전에 있는 번제단에서 쓰이기도 합니다(슥 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