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셉투아진트인 게시물 표시

기독교 성경의 형성 역사와 정경화 과정, 신약 성경도 구전되었다

이미지
   유대인들은 히브리 성경, 즉 구약 성경만을 사용하지만 기독교는 구약 성경 이후에 이 땅에 오신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치심과 행적들, 그리고 그 설명들을 담은 신약 성경까지 정경으로 인정하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독교만이 사용하는 신약 성경 역시 히브리 성경의 역사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이어지고 문서화되며 정경화의 과정을 거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독교 성경의 형성 역사와 정경화 과정, 특히 구전의 역사 속에서 더 큰 권위를 인정 받았던 신약 성경의 형성 역사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주후 90년 즈음의 얌니아 회의가 히브리 성경을 확정하였는가? 성경의 역사와 정경화 역사 성경의 기원과 발전 과정, 성경 역사 - 2. 히브리 성경의 정경화 역사 욥의 고난을 담고 있는 욥기 강해를 위한 욥기 개요    기독교는 유대교 안에서 생겨났기 때문에, 초기 기독교인들은 자연스럽게 히브리 성경을 권위적인 것으로 받아 들였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기독교가 유대교에서 분리가 되었을 당시에도 유대교의 히브리 성경은 완전히 끝나지 않았습니다. 그러므로 기독교인들은 오늘날 히브리 성경을 구성하고 있는 24권의 책들보다도 더 큰 규모의 정경을 물려 받았습니다. 더 큰 규모의 정경의 증거로는, 신약 성경의 저자들이 복음에 대해 성경들을 기록하였기 때문입니다. 즉, 히브리 성경에는 없는 신약 성경이 기독교의 정경에 포함되었습니다. 칠십인경과 외경의 사용    초대 교회의 성도들 뿐 아니라 대부분의 교회들이 사용한 성경은, 히브리 성경을 헬라어로 번역한 " 칠십인역"(셉투아진트 )이었습니다. 기독교 성경의 구약 성경에는 현재의 히브리 성경에 있는 책들 뿐만 아니라 외경들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 비록 초대 교회에서 외경의 권위에 대한 논쟁들이 있었지만, 대부분의 성도들과 교회들은 외경 역시 성경의 권위를 가지고 있다는데 동의 하였습니다.    외경은 16세기 개신교의 종교개혁 때까지 기독교 교회에서 권위를 인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