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스톡홀름 증후군인 게시물 표시

리마 증후군 사건 원인 정의 특징 스톡홀름 증후군 차이점

이미지
    상대방이 나의 자존감을 무너뜨리며 부정적 암시를 줌으로써 나를 지배하려 들 때의 상황을 가스라이팅 현상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납치범에게 동질감과 정서적인 교류와 이해를 하게 되는 과정을 스톡홀름 신드롬이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심리적인 상황은 모두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동화되거나 적응해 가는 과정입니다. 반대로, 가해자가 피해자들에게 동화되어 가는 심리적 과정이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리마 증후군(Lima Syndrome) 이라고 부릅니다. ▒ 사건 개요    지난 1996년 12월 17일, 남아메리카의 페루의 수도인 리마에 있던 일본 대사관에 게릴라 테러리스트들이 침입을 합니다. 이들은 극좌성향의 무장단체인 투팍 아마루 혁명운동(MRTA) 소속이었는데, 일본 대사관 내에서 대사관 직원들을 인질로 잡게 됩니다.     이 무장단체의 일본 대사관 점령 및 인질 사건은 약 5개월이 지난 1997년 4월 22일에 페루 정부군의 기습작전으로 종료가 되었습니다. 종료되던 때까지 무장단체원들은 400여명의 인질들과 함께 일본 대사관 내에서 평화롭게 지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처음에 일본 대사관에 침입했을 당시에는 대사관에 있던 700여명의 인질들을 붙잡았습니다. 하지만 일본 대사관을 점령한 지 몇 시간이 지나지 않아, 일부 부녀자들과 노약자들을 차례로 석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래서 사건 종료가 될 때까지 약 300여명의 인질들을 석방하였으며, 처음에는 인질들을 살해하겠다고 협박하였지만, 실제로는 한 명의 인질도 살해하지 않았습니다.    더 놀라운 사실은, 대사관 점거 5개월여 동안 테러범들은 인질들이 자신의 가족들에게 안부 편지를 보내는 것을 허락하였으며, 의약품류의 반입도 허용하였습니다. 그리고 종교적인 의식을 진행하도록 하였으며 심지어는 인질들에게 테러범들이 자신들의 사정을 털어 놓기도 하였습니다.     시간이 ...

스톡홀름 증후군 사건 원인 사례 한계점

이미지
   한 때 나쁜 남자라는 영화와 용어가 유행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유행이 끝이 나지 않고, 요즘도 나쁜 남자에 매력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나쁜 남자면 싫어해야 하는데, 나쁘기 때문에 매력을 느끼고 정신 없이 빠져드는 묘한 심리 상태에 대한 설명이 스톡홀름 증후군(Stockholm Syndrome) 입니다. [ 스톡홀름 증후군과 유사한 가스라이팅에 대해 미리 읽어 보기 ] 가스라이팅(Gaslighting) 진행단계 예시 대처법 사건    지난 1973년 8월 23일-28일 사이에 스웨덴의 스톡홀름의 크레디트반켄(Kreditbanken)에서 일어난 은행 강도 사건에서부터 스톡홀름 신드롬에 대한 연구가 시작됩니다.    두 명의 은행 강도가 은행을 습격하여 점령하고, 6일 동안이나 네명의 직원과 손님을 인질로 붙잡고 경찰과 대치하였습니다. 그런데 6일 동안의 시간이 길었던지, 은행 강도들과 인질들은 은행의 금고실에서 함께 지내면서 매우 가까워지게 됩니다.    급기야 서로 정서적인 교감을 하고 심리적인 공감의 관계를 형성 하게 되었는데, 인질들이 이 과정에서 강도들에게 보여 준 몇 가지 모습이 충격적이었다고 합니다. 인질들은 강도들을 위해 경찰들과 직접 협상 시도함 강도들이 항복할 때, 경찰이 이들을 사살하지 못하도록 인간 방패가 됨 법정에서 강도들에게 불리한 증언을 하지 않음 강도들이 풀려날 때 그들과 포옹을 하며 정서적 유대 관계를 보임    쉽게 이해되지 않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연구하였던 스웨덴의 범죄심리학자인 베예로트(Bejerot) 는, 인질들의 심리 상태에 대해 스톡홀름 증후군 이라 이름을 붙이게 됩니다. 원인    인질로 붙잡혀서 자신의 생명의 위협을 받게 되면, 누구나가 극한의 공포 속에서 두려워하고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두려움의 대상인 범인이 오히려 자신에게 친절을 베풀게 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