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명기 16장 9절-22절, 추수감사절을 어떻게 지켜야 합니까 - 추수감사주일 설교
추수감사절은 하나님께 감사드리는 주일입니다. 그러나 오늘 우리의 감사가 형식적으로 변질된 것은 아닌지 돌아보고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더 나아가, 추수감사절의 헌금을 부담스러워하는 성도들도 있습니다. 이같은 부분들에 대해 성경은 어떻게 설명하는지 추수감사주일 설교로 전합니다. 신명기 16장 9절-22절, 추수감사절을 어떻게 지켜야 합니까 들어가며 오늘은 우리 한국 교회가 추수감사절로 지키는 주일입니다. 본문을 중심으로 오늘날 우리가 추수감사절을 어떻게 지켜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주위에서 종종 오늘날 우리는 농사를 짓지 않기 때문에 또는 추수감사절은 미국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에 추수감사절을 지킬 필요가 없다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옳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추수감사절은 단순히 추수에 대한 감사를 위해서 지키는 것이 아니며, 추수감사절의 근거도 미국의 청교도에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추수감사절의 근거 먼저, 추수감사절의 근거는 성경에 있습니다. 다음으로, 추수감사절은 단순히 추수를 감사하는 절기가 아니라 구원에 대한 감사와 함께 드려지는 절기였고 이웃들과 함께 자신들의 기쁨과 감사를 나누는 절기였습니다. 오늘날 추수감사절을 지킴에 있어서 문제의 핵심은 형식만 있고 본질이 사라져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추수감사절을 지키되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방법과 자세로 지켜야 합니다. 그러면 추수감사절을 어떻게 지켜야 되겠습니까? 먼저, 정한 시기에 하나님께 감사의 예배를 드려야 합니다. 본문을 보면, 하나님께서 맥추절과 장막절의 시기를 정해주시면서 공동체가 함께 모여 하나님 앞에 지키라고 하였습니다(신 16:10, 15. 참고, 신 26:1-11). 이것은 온 교회가 규칙적으로 시기를 정해놓고 지키되, 예배를 드림으로 지켜야 함을 말씀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기를 정하고 우리 기독교의 중요한 절기 가운데 하나로 추수감사절을 지키는 것은 바람직합니다. 또한, 좀 더 구체적인 부분은 우리가 좀 더 생각해 보아야 하겠지만, 많은 교회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