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열왕기하18장1절8절인 게시물 표시

열왕기하 18장 1절-8절, 히스기야가 실시한 종교개혁 - 묵상과설교

이미지
  기울어져 가는 유다를 다시 회복시키기 위하여, 히스기야는 왕이 된 이후 과감하게 종교개혁을 단행하였습니다. 그래서 과거에 대한 잘못된 자세를 바로잡고 각종 우상 숭배의 대상이었던 우상들과 산당들을 제거하였습니다. 그 결과, 어디를 가든지 형통할 수 있었습니다. 열왕기하 18장 1절-8절, 히스기야가 실시한 종교개혁 새찬송가 285장, 주의 말씀 받은 그 날 개혁과 생명력 갈릴리 바다와 사해의 차이점을 아십니까? 흔히 말하길, 갈릴리 바다는 민물이고 사해는 지나치게 짠물이며 그래서 갈릴리에는 생물이 살고 사해는 생물이 살지 못한다고 말합니다. 그에 따른 해석으로는, 갈릴리는 물을 흘려 보내기 때문에 민물이 되며 사해는 받기만 할 뿐 흘려 보내지 않기 때문은 죽음의 바다라고 말합니다. 상당 부분 맞는 말입니다. 헤르몬 산의 만년설이 녹아 내린 물들이 상부 요단강을 거쳐 갈릴리 호수를 채우고, 갈릴리 호수로부터 하부 요단강이 흘러 내려가서 사해의 물을 채웁니다. 그러나 사해는 더 이상 물을 흘려 보내지 못합니다. 주변이 온통 광야지역인데다가 강수량도 극히 적어서 아래로 흘려 보낼 물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사해가 물을 흘려 보내지 못함으로써 사해의 물이 증발되고, 물 속에 남아 있던 미량의 염분과 주변 지형의 암염들이 녹아 내려 염도가 높아지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자의든 타의든 물을 흘려 보내지 않음으로 인해 사해는 생물이 살 수 없는 곳이 되고 말았습니다. 우리의 믿음은 매 순간 개혁되어야 합니다. 개혁이란, 과거의 것을 새롭게 뜯어 고친다는 뜻입니다. 새로운 것을 받아 들이지 못하고 우리의 것 지금까지 해 온 것만을 고집할 때, 사해와 같이 변화 없는 바다가 되고 맙니다. 그리고 결국 생명체가 살 수 없는 곳이 되어 버립니다. 그러므로 모든 인간은, 그리고 모든 교회 공동체는 새로운 것을 받아 들이고 또 흘려 보낼 수 있어야만 합니다. 그리할 때 생명력이 있고 살아서 역사하는 성도, 능력 있는 교회가 될 수 있습니다. 히스기야의 선택, 종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