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요한계시록기록목적인 게시물 표시

요한계시록 주석 정리, 요한계시록의 역사적 상황과 기록 목적에 대하여

이미지
요한계시록은 역사적인 현실 속에 있는 그리스도인들과 신앙을 저버린 변절자들에게 쓴 편지입니다. 그래서 요한계시록은 핍박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으며, 그 속에서 고난 당하는 성도들에게 위로와 소망을 주고 변절자들에게는 심판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요한계시록 서론 요한계시록의 역사적 상황 유대인들이 교회를 핍박하다 요한계시록은 박해와 압박에 직면한 그리스도인들과 타협하고자 하는 성도들에게 교훈하고 권면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유대교 회당에서 가장 먼저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반대가 일어났습니다(2:9; 3:9). 유대교는 로마 제국 내에서 고대 종교로 존중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유대인들은 로마의 신들을 숭배하고 황제 숭배에 참여하는 것에 면제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일부 유대인들은 교회를 적대시하며 로마 당국 앞에서 그리스도인들이 반로마 세력들이라고 공공연히 비난하였습니다(2:9). 로마 제국이 교회를 핍박하다 로마 제국 역시 성전과 성직자 그리고 절기 등과 같은 요소들이 갖추어진 유대교를 통해 교회를 핍박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유대교는 당시에 로마 제국 내에서 정치적, 사회적 그리고 경제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로마 제국의 각 지역에 형성되어 활동하던 무역 길드와 연계된 황제 숭배를 우상 숭배로 여기고 거부한 그리스도인들은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인 소외의 문제에 직면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황제 숭배는 특히 도미티아누스 황제(주후 81-96년)의 통치 기간 동안에 특히 강력했었는데, 그가 황제로서 강요하는 숭배 사항은 그리스도인들의 신앙 고백인 '오직 예수님만이 주님이십니다'와 직접적인 모순이 되어왔습니다. 비록 체계적이고 제국 전체적인 핍박이 일어나지는 않았지만,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통치 하에 였었던 박해는 실제로 일어났었고(1:9; 2:13; 6:9-10) 가까운 미래에 훨씬 더 심해질 것이라고 예상되었습니다(2:10; 3:10). 교회 내의 거짓 세력들의 영향력이 커지다 교회는 또한 주변의 현실들의 상황에 적응하고 받아들일 것을 촉구하는 거짓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