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욥의믿음인 게시물 표시

욥기 27장 13절-23절, 하나님의 공의로운 통치를 믿습니다 - 복 있는 사람 큐티

이미지
욥은 왜 자신이 까닭 없는 고난의 격랑 속에 있는지, 왜 하나님이 이렇게 자신을 내버려 두시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하나님의 공의로운 통치를 신뢰합니다. 고난이 계속되고 하나님의 응답이 없을 때, 나도 욥처럼 괴로워 하겠지만 믿음을 지키겠습니다. 욥기 27장 13절-23절, 하나님의 공의로운 통치를 믿습니다 본문에 관한 질문들 욥은 악인의 재산이 어떻게 된다고 말합니까?(16-19절) 욥은 하나님이 악인을 어떻게 대우하신다고 말합니까?(22절)​ 본문의 개요​ 1 1. 하나님의 공의로운 통치(13) 욥은 세 친구의 마지막 발언(욥 25장)에 응대하는 가운데 하나님의 공의로운 통치에 대한 확신을 마지막으로 드러냅니다(13-23). 이것은 기존에 욥이 취했던 입장과 사뭇 상반되어 보입니다. 욥은 그동안 자신에게 임한 이유 없는 재앙적 고난과 주변에 악인들이 승승장구하며 별 탈 없이 지내는 모습을 바라보며(21, 24장) 하나님의 공의가 이 땅 가운데 제대로 구현되는지 의아해했습니다. 다시 말해 보응원리('의인은 잘되고 악인은 형벌을 받는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 같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런데 세 친구와의 대화를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욥은 기존의 태도를 바꿔 하나님의 통치를 굳건히 신뢰하는 입장을 취합니다. 비록 자신의 억울한 상황을 설명할 길이 없지만, 그가 한평생 믿어왔던 하나님의 공의로운 통치에 대한 신뢰를 놓지 않습니다.​ 나 또한 이해할 수 없는 역경에 처하면 하나님의 통치에 대해 이런저런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통치를 온전히 신뢰하시겠습니까? 2. 악인을 심판하시는 하나님 (14-23) 욥은 하나님의 공의로운 통치를 구체적으로 나열하는데, 특히 하나님이 악인을 어떻게 공의롭게 다루시는지 기술합니다. 첫째, 악인의 후손은 일시적으로 번성하더라도 결국 망할 것인데, 전쟁(14), 기근 (14), 전염병(15)으로 비참하게 될 것입니다. 둘째, 악인의 부도 오래가지 못할 것입니다. 악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