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우울증 결과인 게시물 표시

노년기 삶의 가장 큰 적, 노인 우울증의 원인과 현재 상황

이미지
    전 세계적으로 노인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 고 있는 추세입니다. 우리나라도 지난 30년 동안 사회 및 경제 성장과 함께 국민소득 및 생활수준이 향상되었고, 의학의 발달과 생활환경 개선으로 평균수명이 길어지고 출산율은 저하되어 고령인구가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 고령 사회로 접어든 우리 나라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고령자 통계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가 2000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65세 이상 인구비율 7.2%)한 이후, 2012년 12월 말 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5,980,060명으로 전체 인구(50,948,272명)의 11.8%로 고령 사회 문턱에 진입하였습니다. 또한, 1970년 3.1%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향후 2030년 24.3%, 2050년 37.4% 수준에 이르러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고령 사회란,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이 전체인구의 7% 이상을 차지하는 사회를 고령화 사회라고 하며,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1%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가족 구조의 변화     특히, 85세 이상 초고령 인구 비중은 2012년 0.9%에서 2030년 2.5%, 2050년 7.7%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매우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사회의 문제들 중 가장 큰 문제는 급속한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인들의 건강 및 복지 문제라 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사회 각 분야의 노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복지관련 정책도 다양하게 요구되고 있지만, 우리 사회는 이에 대한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응과 준비 가 미비한 실정입니다.    우리나라는 급속한 사회경제의 구조적 변화로 인하여, 사회뿐만 아니라 가족 내에서도 노인의 지위와 역할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외국에서도 마찬가지지만 전통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