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서 3장 16절-22절, 인간성의 한계 - 주석과 해설 정리

전도서 3장 16절부터 22절까지의 말씀을 통하여, 솔로몬은 인간이 권력을 가지고 있어도 한계점이 분명히 존재한다고 강조합니다. 이 땅을 살아가는 모든 인간의 허무함과 그 속에서 반드시 기억해야 할 점들에 대한 본문의 주석과 해설을 정리하였습니다. 전도서 3장 16절-22절, 인간성의 한계 솔로몬은 여전히 이 세상 만물이 하나님께 대한 경건과 경외를 갖지 않는다면 헛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종교가 없어진다면 인간사이에서 귀중한 것은 아무 것도 없을 것이며, 지혜로운 자가 이 세상에서 살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할 만한 것은 아무 것도 없을 것입니다. 솔로몬은 권력과 (인간이 야심을 품고 얻으려는 것 중 이보다 더한 것은 없다) 생명 그 자체도 (인간이 좋아하고 시기하는 것 중 이보다 더 한 것은 없다) 하나님께 대한 경외감이 없다면 아무 것도 아니라는 것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강력한 힘을 가진 자의 허무가 있다. 최고 신분과 최대의 토지를 가진 자와 권위에 대하여 뭇사람들이 무릎을 꿇는 왕좌에 앉은자의 허무가 여기에 있으며, 지혜와 정의에게 호소하는 자리 곧 재판석 위에 앉은 자의 허무가 있습니다. 만약 그가 종교적 율법의 다스림을 받는 자라면 그는 하나님의 대리인이기도 합니다. 뿐만 아니라 그는 "당신들은 신들입니다"라는 말을 듣는 자들 중에 속하는 자입니다. 그러나 만일 하나님께 대한 경외심이 없다면 그것도 "헛된"것입니다. 1. 하나님을 경외하지 않는 재판관. 경외심을 상실한 재판관은 올바로 재판하지 못할 것이며, 자기 권력을 잘 사용하지도 못할 것이고, 그것을 남용하고 오용하게 될 것입니다. 그 권력으로 선을 행하기는커녕 해를 끼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그것은 헛된 것일 뿐만 아니라 거짓이기도 하며, 자기 자신에게 대한 기만일 뿐만 아니라, 자기 주변의 모든 사람들에 대한 기만이기도 합니다(16절). 2. 불의한 재판관은 심판을 받을 것이다. 솔로몬이 인간들 사이에서 얼마나 비뚤어진 재판이 자행되는지 보았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