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서와 묵시문학, 묵시문학의 의미와 그 특징 세 가지

다니엘서는 역사적인 내용과 아울러 묵시적인 내용이 뒤섞여 있습니다. 그래서 다니엘서는 묵시문학에 분류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다니엘서도 묵시문학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다니엘서가 속한 묵시문학의 의미와 그 특징들 세 가지를 정리하였습니다. 다니엘서와 묵시문학, 묵시문학의 의미와 그 특징 세 가지 묵시문학의 의미 1. 묵시문학의 유래 요한계시록 1장 1절은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라"라는 구절로 시작합니다. 여기에 나타난 "계시"는 헬라어로 " ἀποκάλυψις "(아포칼립시스)라고 표현합니다. " ἀποκάλυψις "의 본래 의미는 "계시하다" 혹은 "벗기다"입니다. 2. 묵시문학의 장르 묵시문학에 대하여 구약학자 폰 라트는 특별한 장르로 분류하지 않고, 전승사적으로 매우 복잡한 것이라고 강좌였습니다. 그러나 다른 대부분의 학자들은 묵시문학을 문학 그 자체로 보거나 혹은 사회적인 이념이 담겨 있는 묵시사상으로 구분합니다. 1970년대의 미국성서학회에는 "묵시문학그룹"이라는 장르를 포함시켜 많은 연구의 성과들이 발표되었습니다. 특히 묵시문학그룹은 형식과 내용 면에서 묵시문학의 특징을 확인하려 하였습니다. 묵시란, 초자연적인 세상과 미래에 대한 예언을 통하여 현재 진행되어가는 상황들을 이해하고 해석하려 합니다. 그래서 묵시는 주로 꿈과 천사와의 대화, 환상 등의 방법을 통하여 주어집니다. 마치 다니엘서에 나타나는 환상과 천사와의 대화, 그리고 꿈과 같습니다. 묵시문학이 가지는 특징 1. 저자의 실제 이름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묵시 문학의 가장 큰 특징은 저자의 정확한 정체를 알기 어려운 경우들이 많다는 점입니다. 묵시문학이 주로 현실적인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고통 중에 있는 성도들에게 힘과 소망을 주기 위해 제시된다는 점에서, 자신의 실명을 사용했다가는 큰 고난을 당할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저자는 대부분 익명을 사용하여 묵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