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서 1장 1절-3절, 전도서의 목적과 의도 - 주석과 해설 정리

전도서는 우리 모든 인생들이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모든 수고와 기쁨, 일시적인 성공과 답을 찾기 어려운 질문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매일성경큐티와 새벽설교 준비를 위하여, 전도서의 서론인 1장 1절부터 3절까지의 주석과 해설을 정리하였습니다. 전도서 1장 1절-3절, 전도서의 목적과 의도 전도서의 저자, 솔로몬 이 책의 저자는 솔로몬입니다. 그 이유는 다윗의 아들로서 예루살렘의 왕이 된 자는 솔로몬밖에 없는 까닭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화평하다"는 뜻의 자기 이름 솔로몬을 감추고 있는데, 이는 그가 죄악으로 인하여 자기 자신과 자기 나라에 환란을 초래하였고, 하나님과의 평화를 깨뜨렸으며 자기 양심의 평안을 상실하여서, 그 이상 더 그 이름으로 불릴 만한 가치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나를 솔로몬이라고 부르지 말라. 나를 마라라고 불러라. "보라. 내게 화평함 대신 큰 괴로움을 취하였노라." 그는 자기 자신을 다음 세 가지로 부르고 있습니다. 1. 전도자 이것은 그의 현재적 특성을 시사해 주는 칭호이다. 그는 코헬렛(Koheleth, קהלת)입니다. 이것은 "거두어 들인다"는 뜻의 단어에서 유래된 명칭입니다. 이 말은 여성 어미(語尾)로 되어 있는데, 아마 솔로몬은 자신의 아녀자 같은 유약성을 자책할 심산으로 이 같은 여성 어미를 사용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의 타락은 딴 어떤 요인보다 바로 이 유약함에서 크게 야기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가 우상을 세운 것은 자기 아내들을 즐겁게 해 주기 위해서였습니다다(느 13:26). 2. 다윗의 아들 솔로몬은 다윗과 같이 선한 인간의 아들됨을 크나 큰 영광으로 간주하였고, 이 이름을 매우 귀하게 여겼음을 말해 줍니다. 그리고 솔로몬은 그런 아버지를 가졌다는 사실로 인하여 자기가 지은 죄를 더 중한 것으로 간주하였습니다. 자기 부친은 자기를 위해 좋은 교육을 베풀어 주었으며 많은 선한 기도를 쉬지 않았으나 자신은 다윗과 같은 자의 이름과 가문에 먹칠을 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