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존칼빈인 게시물 표시

[장로교 정치 형성사] 1. 존 칼빈의 교회 정치론 - 성경, 신학, 그리고 장로교의 청사진 - 제직 교육 자료

이미지
존 칼빈의 장로교 정치론을 탐구합니다. 구약의 장로 제도와 산헤드린, 신약의 '장로-감독' 직분에서부터 제네바의 4중 직분론(목사, 교사, 장로, 집사)까지, 장로교 정치의 성경적 근거와 '그리스도 주권'의 신학적 의미를 5가지 핵심으로 요약, 정리합니다. 새해에 진행할 제직 교육을 위한 첫 번째 자료입니다. 존 칼빈의 교회 정치론 - 성경, 신학, 그리고 장로교의 청사진 존 칼빈, 장로교의 청사진을 그리다: 성경에서 제네바까지 1. 구약의 원형: 모세와 70인의 장로 (זְקֵנִים) 장로교 정치의 뿌리는 구약의 '장로'(זְקֵנִים) 제도에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나이가 아닌 지혜를 갖춘 지도자를 의미했습니다. 하나님은 민수기 11장에서 모세의 리더십을 70인의 장로에게 위임하며 성령의 권능을 분배하셨고 , 출애굽기 18장에서는 이드로의 조언에 따라 사법적 기능을 위임받은 장로들이 단계별 사법 체계의 원형이 되었습니다. 2. 대의제의 구조: 산헤드린 시스템 구약의 장로 제도는 신약 시대 '산헤드린'(Sanhedrin) 시스템으로 발전했습니다. 랍비 문헌에 따르면, 이는 23명의 소(小)산헤드린과 71명의 대(大)산헤드린으로 구성된 명백한 '단계별 법원' 시스템이었습니다. 이 '회의'를 통한 '대의적' 통치 원리는 교황의 독재를 거부한 종교개혁가들에게 성경적 통치 모델을 제공했으며 , 훗날 장로교의 당회, 노회, 총회 구조의 원형이 되었습니다. 3. 신약의 확립: 장로(πρεσβύτερος)와 감독(ἐπίσκοπος) 장로교 정치는 신약의 '장로'(πρεσβύτερος)와 '감독'(ἐπίσκοπος)을 동일한 직분으로 보는 성경 주해에 기반합니다. 사도행전 20장에서 바울은 에베소의 '장로들'(17절)을 '감독자들'(28절)이라 부르며 두 용어를 교차 사용했습니다. 디도서 1장 역시 '장로...

아모스의 신학 21. 종교개혁의 선구자 사보나롤라의 아모스서 해석과 현대적 의미 - 예언자적 목소리의 역사적 흐름

이미지
15세기 피렌체의 수도사 사보나롤라부터 현대 해방신학까지, 아모스서 해석의 역사적 흐름을 탐구합니다. 종교개혁가들의 성경해석과 현대 해방신학의 관점을 통해 예언서가 지닌 현대적 의미를 살펴보며, 종교적 형식주의와 사회적 불의에 대한 예언자적 목소리의 중요성을 재조명합니다. 종교개혁의 선구자 사보나롤라의 아모스서 해석과 현대적 의미 - 예언자적 목소리의 역사적 흐름 서론 15세기 말 피렌체의 도미니칸 수도사 지롤라모 사보나롤라(1452-1498)는 아모스서를 통해 당대 교회와 사회의 부패를 강력하게 비판했습니다. 그의 아모스서 해석은 단순한 성경 주해를 넘어 종교개혁의 선구적 목소리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본 글에서는 사보나롤라의 아모스서 해석이 지닌 특징과 그것이 후대 종교개혁가들과 해방신학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본론 본론 1: 사보나롤라의 아모스서 해석의 특징 사보나롤라는 1496년 사순절 기간 동안 아모스서와 스가랴서에 대한 설교를 통해 당시 피렌체의 교회와 시민 지도자들의 부패를 신랄하게 비판했습니다. 그는 아모스가 비판했던 "바산의 암소들"을 사제들과 통치자들의 첩들에 비유했고, 이들이 첩들과 밤을 보낸 다음 날 아침에 미사를 집전하는 것을 강하게 규탄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사보나롤라가 아모스서의 메시지를 단순히 과거의 이야기로 치부하지 않고 당대의 상황에 적극적으로 적용했다는 것입니다. "이탈리아여, 회개하라!"는 그의 외침은 아모스의 예언자적 선포를 그대로 재현한 것이었습니다. 그는 정의가 결여된 채 형식적 종교의식에만 치중하는 것을 "선행을 쓴쑥으로 바꾸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본론 2: 종교개혁 시대의 아모스서 해석 마르틴 루터와 존 칼뱅은 사보나롤라의 해석을 이어받아 아모스서를 통해 당대 교회의 개혁을 촉구했습니다. 루터는 자신을 아모스와 같은 단순한 사람이 교회 지도자들을 향해 "거짓된 성결"을 고발하는 자로 이해했습니다. 그는 아모스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