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종교개혁자해설인 게시물 표시

회개에 대한 종교개혁자들과 심리학자들의 정의, 그리고 회개와 구원

이미지
우리는 범죄한 이후, 하나님께 나와 우리의 죄를 고백하면서 회개합니다. 이러한 모습은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도덕과 종교적인 마음이라고 설명할 수도 있습니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회개의 신학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회개와 구원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구약 성경에 나타나는 회개의 종류 세 가지 회개에 대한 종교개혁자들과 심리학자들의 정의, 그리고 회개와 구원 회개에 대한 종교개혁자들과 심리학자들의 정의 기독교에서는 회개가 구원의 한 단계라고 말합니다. 특별히 신앙 생활의 첫 단계로서, 신앙 생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그래서 중세 시대부터 많은 신학자들이 회개에 대해 고민하고 정의를 내리곤 하였습니다. 1. 루터의 "회개" 종교개혁자인 마르틴 루터는 "회개"를 성령님께서 일하시는 과정의 한 단계로 보았습니다. 그래서 인간의 능력이나 의지보다도 성령님의 특별한 역사로 인해 죄인이 회개하게 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특히, 루터는 "회개"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보다는 "참회"나 "통회"라는 용어를 더 자주 쓰곤 하였습니다. 루터가 주장한 대로, 회개가 성령님의 역사라고 본다면, 회개는 신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개념이자 경험임을 알 수가 있습니다. 2. 칼빈의 "회개" 종교개혁자인 칼빈은 회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를 내렸습니다. 회개란, 하나님께 등을 돌렸던 인간이 하나님을 향하여 얼굴을 다시 돌리는 것을 뜻합니다. 심지어 칼빈은 "회개"가 "부활"과도 같다고 가르쳤습니다. 부활이 죽음에서 생명으로 옮겨지는 과정인 것과 같이, 회개 역시 죽음에서 소생하게 되는 과정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또한, 회개는 인간의 의지가 아닌 성령님의 사역의 결과라고 말하였습니다. 3. 19세기 종교심리학자들의 "회개" 심리학이 발달하기 시작하던 19세기에는 "회개"를 신앙적 관점에서 이해하기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