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통제만능주의인 게시물 표시

심리학 이야기 : 깨어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s Theory)의 활용과 문제점

이미지
   앞서서 ' 깨진 유리창 이론 '(Broken Windows Theory)의 정의와 연구 과정 및 결과 등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제 앞의 내용에 연결하여 '깨진 유리창 이론'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 이론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깨어진 유리창 이론'이란, 관리하지 않고 그냥 내버려 둔 곳에서부터 문제가 시작되므로 애초에 관리를 철저히 하면 문제를 예방하거나 혹은 문제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실제로, 뉴욕의 지하철의 범죄율을 낮추고 서울역 주변을 깨끗하게 유지하는데 사용된 심리학적 이론입니다. 먼저 읽어보면 유익한 글 :  깨어진 유리창 이론의 정의와 사례들 깨어진 유리창 이론의 활용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이 이론은 어떤 활용 가치가 있을까요? 코로나19와 마스크    깨어진 유리창 이론의 핵심은, '하나의 작은 문제'가 또다른 문제와 더 큰 문제를 가져 온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작은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거나 즉시 그 문제 상황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오늘날과 같이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어렵고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을 때, 만일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이용객이 마스크를 쓰지 않고 탑승을 하려는데, 대중교통의 운전자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거나 함께 탑승한 승객들이 모른 척 하면 어떻게 될까요?    아마도 오랫동안 마스크를 써 온 탑승객들은, '답답한데 나도 벗어볼까?'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억지로 마스크를 쓰고 있었던 사람은 '저 사람이 마스크를 쓰지 않았네?'라면서 직접 행동으로 옮길 수도 있을 것입니다.    문제가 되는 한 사람(마스크를 쓰지 않고 대중교통에 탑승한 사람)을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주변 사람들까지 문제에 물들 가능성이 훨씬 높아집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