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포로인 게시물 표시

열왕기하, 하나님의 언약에 대한 순종과 불순종의 결과

이미지
열왕기하는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의 쇠퇴와 멸망을 기록합니다. 엘리야와 엘리사의 사역, 왕들의 통치, 그리고 하나님의 심판과 은혜가 나타납니다. 불순종의 결과와 회개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하나님의 언약에 대한 신실함을 강조합니다. 역사를 통해 영적 교훈을 우리에게 가르쳐 줍니다. 열왕기하, 하나님의 언약에 대한 순종과 불순종의 결과 열왕기하의 핵심 내용들 1.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의 쇠퇴 열왕기하는 북이스라엘과 남유다 왕국의 점진적인 쇠퇴를 자세히 기록합니다. 두 왕국의 지도자들이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우상숭배와 부도덕한 행위가 만연해집니다. 이는 결국 하나님의 심판을 초래하게 됩니다. 북이스라엘은 앗수르에 의해 멸망당하고, 남유다는 바빌로니아에 의해 함락됩니다. 이 과정에서 예언자들의 경고와 권고가 계속되지만, 대부분의 왕들은 이를 무시합니다. 이 기록은 하나님에 대한 불순종의 결과를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2. 엘리야와 엘리사의 사역 열왕기하에서는 두 위대한 선지자, 엘리야와 엘리사의 사역이 두드러집니다. 엘리야는 불의한 아합 왕과 대립하며, 갈멜산에서 바알 선지자들과의 대결을 통해 여호와 하나님의 능력을 입증합니다. 엘리사는 엘리야의 후계자로, 더 많은 기적을 행합니다. 그는 나아만의 문둥병을 치유하고, 수넴 여인의 아들을 살리며, 적군의 계략을 간파하는 등 하나님의 능력을 나타냅니다. 이들의 사역은 혼란의 시기에 하나님의 개입과 은혜를 보여줍니다. 3. 유다 왕국의 개혁과 멸망 열왕기하는 유다 왕국의 몇몇 의로운 왕들의 개혁 노력을 기록합니다. 특히 히스기야와 요시야 왕의 종교 개혁이 두드러집니다. 그들은 우상을 제거하고 성전 예배를 회복하려 노력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에도 불구하고, 유다는 결국 바빌로니아에 의해 멸망합니다. 예루살렘이 함락되고 성전이 파괴되며, 많은 유대인들이 바빌론으로 끌려갑니다. 이는 하나님의 언약에 대한 불순종의 최종적인 결과를 보여주며, 동시에 미래의 회복에 대한 희망을 남깁니다. 열왕기하의 저자 열왕기하의 정확한 저자는 ...

느부갓네살(Nebuchadnezzar, נְבוּכַדְנֶאצַּר), 고대 바벨론의 위대한 왕

이미지
매일성경을 큐티하면서 예레미야의 시대에 등장하는 느부갓네살에 대해 궁금해졌고, 고대 메소포타미아 역사상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하나인 느부갓네살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바벨론의 갈데아 왕조의 두 번째 왕으로, 기원전 605년부터 562년까지 43년간 통치했습니다. 느부갓네살(Nebuchadnezzar, נְבוּכַדְנֶאצַּר), 고대 바벨론의 위대한 왕 느부갓네살의 이름은 아카드어로 'Nabu-kudurri-uṣur'라고 하며, 히브리어로는 'נְבוּכַדְנֶאצַּר'로 표기됩니다. 그의 통치 기간은 바벨론 제국의 전성기로 여겨집니다. 느부갓네살의 이름은 "느보(Nebo) 신(神)이 국경을 지켜주셨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느보는 바벨론의 신 중 하나로, 이 이름은 느부갓네살의 통치와 바벨론 제국의 수호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군사적 성과 느부갓네살은 뛰어난 군사 지도자였습니다. 그의 가장 주목할 만한 승리는 기원전 605년 유프라테스 강 인근 갈그미스에서 애굽군을 상대로 거둔 것입니다. 이 승리로 그는 시리아와 팔레스타인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했습니다. 그의 군사 원정은 다메섹을 포함한 여러 도시들을 정복하고 조공을 받아내는 데 성공했습니다. 또한 아라비아 반도까지 진출하여 많은 전리품을 획득했습니다. 유대 왕국과의 관계 느부갓네살의 통치 기간 중 가장 잘 알려진 사건 중 하나는 유대 왕국과의 충돌입니다. 기원전 597년, 그는 예루살렘을 포위하고 여호야긴 왕을 폐위시켰습니다. 이후 여호야긴의 삼촌인 시드기야를 왕위에 앉혔습니다. 그러나 시드기야의 반란으로 인해 느부갓네살은 기원전 586년 다시 예루살렘을 공격했습니다. 이 공격으로 솔로몬의 성전이 파괴되고 많은 유대인들이 바벨론으로 끌려가는 '바벨론 포로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유대교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건축 업적 느부갓네살은 뛰어난 건축가이기도 했습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바빌론은 대대...

[사순절 큐티] 사순절 제17일 큐티, 내 영혼에 봄날 되어서

이미지
사순절 제17일의 큐티 본문은, 포로된 이스라엘에게 새 봄과 같은 회복과 해방의 소식을 전해 주시는 하나님에 대한 말씀입니다. 아울러 죄의 포로로 살아가던 모든 인간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로 새 봄을 전해 주신 은혜에 대해 큐티하고 복음의 전달자가 되기로 결단합니다. 내 영혼에 봄날 되어서 함께 할 찬송 새 찬송가 428장, 내 영혼에 햇빛 비치니 함께 할 성경 말씀 이사야 56:6-8, 또 여호와와 연합하여 그를 섬기며 여호와의 이름을 사랑하며 그의 종이 되며 안식일을 지켜 더럽히지 아니하며 나의 언약을 굳게 지키는 이방인마다 내가 곧 그들을 나의 성산으로 인도하여 기도하는 내 집에서 그들을 기쁘게 할 것이며 그들의 번제와 희생을 나의 제단에서 기꺼이 받게 되리니 이는 내 집은 만민이 기도하는 집이라 일컬음이 될 것임이라 이스라엘의 쫓겨난 자를 모으시는 주 여호와가 말하노니 내가 이미 모은 백성 외에 또 모아 그에게 속하게 하리라 하셨느니라, 아멘! 함께 할 사순절 큐티 1. 묵상을 위한 질문 새봄이 왔음을 느끼고 있나요? 2. 함께 하는 깊은 묵상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먼 옛날 오랑캐 땅에 잡혀간 한 여인의 마음을 헤아려 본 시구로, 봄이 왔으나 봄을 느낄 수 없다는 말입니다. 남의 땅에 머물고 있는 이에게 꽃이 피고 새가 우는 봄이, 봄 같을 리 없었을 것입니다. 남의 땅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가 있던 유다 백성들이 느꼈을 마음도 이와 같았을 것입니다. 백성들은 그렇게 겨울을 살고 있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런 백성들에게 봄을 선언하시며 백성들을 불러모으십니다. 나라를 빼앗겼다 해서 거기가 끝이 아니라는 선언을 하신 것입니다. 다시 시작해 보자고, 일어나라고, 돌아가자고 말입니다. 봄이 되면 겨우내 볼 수 없었던 것들을 보게 됩니다. 눈 녹아 물이 흐르고 새싹이 돋는 것을 보게 되기에 봄에는 별명이 하나 있습니다. '새 봄'입니다. 새 여름도, 새 가을도, 새 겨울도 없으니 새 봄은 봄만의 특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