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플라톤인 게시물 표시

3 인지심리학의 역사, 철학적 심리학의 선구자 - 인지심리학

이미지
   심리학의 역사가들은 보통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기 위하여 두 가지의 접근 방식으로 심리학의 뿌리를 추적해 나갑니다. 철학은 부분적으로 자기성찰, 내면의 사상과 경험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이 세계의 일반적인 본질을 이해하려고 한다. 생리학은 주로 경험적 관찰 기반 방법을 통하여 생물의 생명 유지 기능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를 추구한다. 1 인지심리학에 대한 소개, 인간의 인식에 대한 접근법 - 인지심리학 2 그래서 도대체 인지심리학이란 무슨 학문이란 말인가 - 인지심리학  1  이성주의자 플라톤과 경험주의자 아리스토텔레스    유명한 그리스 철학자인 플라톤(주전 428-348년) 과 그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주전 384-322년) 는 심리학과 다른 많은 학문 분야에서부터 현대 사상에 이르기까지 엄청난 영향을 끼쳤습니다. 그러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일반적인 사상을 조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의견을 주장하였습니다. 플라톤    플라톤은 이성주의자였는데, 지식으로 가는 길은 사고와 논리적인 분석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다시 말해서,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고 개발하기 위하여 어떠한 실험을 행할 필요가 없다는 말입니다. 인지의 과정에 관심이 있는 이성주의자들은 지식이나 정당성의 원천으로서 "이성"을 강조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    반면에, 철학자이자 자연학자, 그리고 생물학자였던 아리스토텔레스는 경험주의자였습니다. 경험론자는 우리가 직접 경험한 증거, 즉 경험과 관찰을 통해서만 증거를 얻는다고 믿습니다. 인간의 정신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탐구하기 위하여, 경험론자들은 실험을 구체적으로 설계하고 피실험자의 행동과 그 과정들을 관찰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경험주의자들은 심리학의 경험적이고 실험적인 방법과 연결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현대의 심리학자들    오늘날 대부분의 심리학자들은 두 가지 접근법을 같이 사용하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