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로교 정치 형성사] 2. "교회란 무엇인가?" 칼빈의 답을 찾다 - 제직 교육 자료
"교회란 무엇인가?" 장 칼빈의 『기독교 강요』가 제시하는 명확한 답을 확인하세요. 보이는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의 본질, 신자의 어머니로서의 역할, 참된 교회의 표지, 그리고 목사/장로/집사의 4중 직제론까지. 칼빈의 교회론과 직제론의 핵심입니다. 장로교 제직 교육을 위한 두 번째 자료입니다. "교회란 무엇인가?" 칼빈의 답을 찾다 『기독교 강요』 속 교회론과 직제론 5가지 핵심 1. 보이는 교회 vs 보이지 않는 교회: 칼빈의 이중적 교회관 칼빈은 교회를 두 측면으로 설명합니다. '보이지 않는 교회'(Ecclesia Invisibilis)는 하나님의 눈에만 보이는, 시공을 초월한 '택함 받은 자의 총수'입니다. 반면 '보이는 교회'(Ecclesia Visibilis)는 지상에서 동일한 신앙을 고백하고 말씀과 성례에 참여하는 '신자들의 공동체'입니다. 칼빈은 이 보이는 교회가 알곡과 가라지가 섞인 '혼합체'(Corpus Permixtum)임을 인정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이 불완전성이 교회를 떠날 이유가 아니라, 오히려 그 안에서 말씀과 권징이 필요한 이유라고 역설했습니다. 2. 신자들의 어머니 (Mater Fidelium): 교회의 필연성 칼빈은 교회의 필연성을 강조하기 위해 "신자들의 어머니"라는 은유를 적극 사용했습니다. 그는 "하나님을 아버지로 모신 자들에게 교회는 어머니가 되어야 한다"고 선언하며 , 교회가 신자를 잉태하고 젖으로 양육하며 평생 돌보는 '필수 기관'이자 '학교'라고 보았습니다. 또한 "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는 고대의 격언을, 교황의 제도가 아닌 '말씀과 성례의 사역' 밖에는 구원이 없다는 의미로 재해석하여 수용했습니다. 3. 참된 교회의 표지: 말씀과 성례 16세기 종교개혁 시대에 '어떤 교회가 참된 교회인가'는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