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공복시혈당인 게시물 표시

당뇨병 질환자의 공복, 식사 후 2시간, 취침 전의 정상 혈당 수치

이미지
   가끔 뉴스에서 교통사고에 대한 보도를 하면서, 운전자가 갑자기 의식을 잃었다며 사고의 원인을 설명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의 상당수는 저혈당으로 인한 쇼크 때문이라고 말하는데, 당뇨병을 가진 질환자는 항상 자신의 당뇨 수치, 즉 혈당 수치에 관심을 기울이고 수시로 확인해야만 합니다.    비단 저혈당 뿐 아니라, 고혈당의 경우에도 항상 당뇨수치, 혈당을 확인해야만 합니다. 당뇨병 질환자의 당뇨 수치 혈당을 확인하는 시간과 정상 범위    아침 식사 전 공복 상태    아침 식사 전의 공복 상태의 혈당수치를 먼저 확인해 봐야 합니다. 공복 상태의 혈당수치는, 현재 내 몸 안의 인슐린이 얼마나 제 기능을 발휘하고 있는가를 나타내 줍니다. 그래서 당뇨병을 가진 질환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아침 식사 전, 공복 상태의 혈당을 확인해야 합니다.    아침 공복 상태의 혈당의 정상 범위는 " 90~130mg/dl "입니다. 점심 및 저녁 식사 전    당뇨병 질환자의 경우에는, 이미 인슐린 관련 약을 섭취하였다는 전제 하에서 마찬가지로 혈당의 정상 범위는 " 90~130mg/dl "입니다. 정상 범위 안에 들어와야 약이 효과가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식사한 후 2시간 경과    일반적으로 우리 몸의 혈당은 식사한 후에 2시간이 지난 때에 최고 높은 수치로 올라갑니다. 그러므로 식사한 후 2시간 경과하여 혈당을 확인하면, 인슐린이나 투여한 약을 통하여 우리 몸이 탄수화물과 같은 등을 적절하게 에너지로 바꿨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이 때의 혈당 수치는 " 180mg/dl 이하 "가 되어야 합니다. 잠자리에 들기 전    당뇨병 질환자의 경우에는, 잠자리에 들기 전에 혈당은 " 110~150ml/dl " 사이에 있어야 합니다. 만약, 혈당이 너무 낮을 경우에는 적절하게 조치를 취한 후 잠자리에 들어야 합...

나도 당뇨라구요? 당뇨병의 정의와 증상에 대하여 - 당뇨정복 프로젝트(2)

이미지
    당뇨병의 진단기준에 대해 확인한 결과, 참으로 애매한 경계선에 걸려 있습니다. 공복혈당 101이면 분명히 정상은 넘어선 것인데, 왠지 마음으로는 그래도 위험한 수준은 아니라는 위안을 하고 싶습니다. '지피지기면 백전불패'이니, 당뇨병에 대해 확실히 알기 위하여 공부를 계속해 나가렵니다. 아, 경계선을 넘어섰습니다. 당뇨병 진단을 위한 기준 정리 - 당뇨정복프로젝트(1)  1.  당뇨병이란    먼저 당뇨의 정의를 살펴보아야겠습니다. 흔히 '당뇨병 당뇨병'이라며 자주 이야기를 하는 분들이 많은데, 도대체 의학적으로는 어떤 병을 당뇨병이라고 부르는지 궁금했습니다.    의학적으로 당뇨병이란, 포도당(당)이 소변(요)으로 배출되는 질환이라는 정의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한가지 증상만을 가지고 당뇨병이라고 정의하지는 않고, 소변으로 당이 배출되어 버리는 것과 함께 혈액 속의 혈당(포도당의 수치)이 정상 범위를 넘어서서 높은 상태가 계속 이어질 때 '당뇨병'이라고 진단하게 됩니다.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우리 몸에 들어온 포도당을 우리 몸의 세포들이 에너지로 사용해야만 하는데, 이 과정에서 흔히 말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인슐린이 적절하게 작용하지 못하여 포도당을 세포 속으로 넣어 주지 못하면, 포도당이 혈액 속에 남게 됩니다.    그 결과, 혈액 속의 포도당 수치가 높아짐으로써 혈당이 높아진다라고 말하며, 남는 포도당은 소변을 통하여 배출되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 몸의 포도당을 세포들의 에너지원이 되도록 도와 주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부족하거나 제 기능을 하지 못하여 혈당이 높아지는 질환이 바로 당뇨병 입니다.  2.   당뇨병의 증상    저의 경우에는 당뇨에 대한 특별한 자각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