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구별된사람인 게시물 표시

민수기 3장 44절-51절, 구별된 사람 - 민수기 강해 설교

이미지
민수기 3장 44절부터 51절까지의 말씀에서,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의 장자를 대신한 레위인의 수가 더 작은 것을 보시고 차이나는 수만큼 5세겔씩 속전으로 바치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이러한 본문의 의미가 무엇일까요? 민수기 강해 설교로 그 의미를 정리하였습니다. 민수기 3장 44절-51절, 구별된 사람 베들레헴에서 나신 예수님은 난지 8일 만에 예루살렘 성전에 아기로 드려졌습니다. '주의 율법에 쓴 바 첫 태에 처음 난 자마다 주의 거룩한 자라 하리라'라고 기록하신 그대로 였습니다(눅 2:22-23). 첫 아들과 짐승의 첫 새끼를 드리는 율례는 출애굽 직전 유월절의 은혜에 의해 이스라엘의 장자들이 살아난 사실에 기원을 두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말씀에서 은혜에 의해 구원받은 자는 하나님께 드려져야 한다는 엄숙한 메시지를 듣습니다. 바울은 '사나 죽으나 우리가 주의 것이로다'(롬 14:8)라고 고백하였습니다. 본문은 이스라엘 여러 지파의 첫 아들 대신 레위인과 그 가축을 드리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리고 레위인보다 더 많은 장자의 수효에 대해서는 한 사람에게 5세겔씩 계산해 그 속전을 아론과 그 아들에게 주라고 명하고 있습니다. 본문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하나님께 드릴 때는 온전히 드리라  먼저, 본문의 말씀은 하나님께 드릴 때는 온전히 하나님께 드릴 것을 교훈하고 있습니다. 첫 아들에게 부모가 아무리 하나님의 섭리와 성별을 말해준다 해도, 그들은 세상에 속해 일하는 자들이기 때문에 늘 마음이 나누이고 세속에 섞이기 쉽습니다. 세상 속에 살아가는 한, 결코 세상과 완전히 구별된 삶을 살아갈 수는 없습니다. 반면에 레위인들은 첫 아들이 아니라 해도 구별해서 하나님의 일만을 전담한 자들이기 때문에 온전히 드려짐을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명분으로 섬김보다 실제로 온전히 드려진 사람을 기뻐하십니다. 또한 그들을 통하여 역사하십니다. 몸을 드릴 수 없으면 제물로 헌신하라  레위인보다 수가 더 많은 장자로 인하여, 초과...

나실인(נָזִיר, 나지르,ναζιραίους, 나지라이우스)의 정의와 그 규정 - Lexham 사전 인용

이미지
매일성경 본문 중 민수기 6장은 나실인에 관한 규정의 말씀입니다. 하나님께 온전히 헌신한 사람을 뜻하는 나실인은 성경의 여러 인물들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성경에 나타난 나실인의 정의와 그에 대한 규정의 말씀들을 Lexham 사전의 내용을 인용하였습니다. 나실인(נָזִיר, 나지르, ναζιραίους , 나지라이우스)의 정의와 그 규정 나실인이란, 특정한 행동을 금하는 것으로 구별되는 나실인 서약을 한 남성 또는 여성. 주로 구약의 이스라엘 사람들 사이에서 볼 수 있고, 신약의 예도 볼 수 있다. 구약성경의 나실인 서약 "나실인"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용어는 "분리하다"(נזר, 나자르)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에서 유래한다. 민수기 6장은 이 서약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포도 및/또는 술과 관련된 모든 것을 금한다.   •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을 자제한다.   •      죽은 사람을 피한다(가족 구성원 포함). 이 본문은 서약에서 해방되는 단계를 자세히 설명한다. 여러 가지로 규정된 제물을 가져온 후 나실인은 회막 입구에서 머리를 밀고 머리카락을 태운다. 제사장은 포기 제물을 바치고 나실인은 서원에서 해방된다. 두 명의 잘 알려진 구약성경 인물은 아마도 나실인이었을 것이다.   1. 삼손은 구체적으로 나실인이라고 불린다(삿 13:7)   2. 삭도가 사무엘의 머리에 닿지 않을 것이라는 한나의 약속은, 사무엘이 나실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삼상 1:11). 민수기 6장에서 나실인 서약이 일시적인 서약임을 암시하지만, 삼손과 사무엘은 평생 헌신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아모스 2:11-12은 신적으로 부름을 받은 나실인을 보여 주면서 이스라엘 가운데 나실인이 자라날 것이라고 말한다. 선지자는 또한 이스라엘 사람들이 나실인들에게 포도주를 마시게 함으로써 죄를 지었다고 말한다. 신약성경의 나실인 서약 사도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