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노년기 우울증인 게시물 표시

부모님이 우울하대요 : 노인 우울증 이론 증상 관련 이해와 개념

이미지
   노년기의 우울증은 매일 함께 얼굴을 대하는 가족이 아닌 이상, 쉽게 알아 차리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더욱 신경을 써서 관찰하고 옆에서 확인을 해야만 합니다. 오늘은 노인 우울증에 대한 여러 이론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노인 우울증의 개념 우울증 개념    흔한 정신질환으로 마음의 감기라고도 불라는 우울증은 정상적인 기분변화로부터 병적인 기분상태까지의 연속선상에 있으며 근심, 침울힘, 무력감, 무가치함을 나티내는 기분장애를 말합니다. 그리고 우울증에 걸리면 특별하게 우울할 만한 이유가 없는데도 기분이 늘 울적하게 가라앉고 매사에 의욕이 없어서 무기력해지고 무엇을 하고 싶지 않은 그러한 증상이 특징적으로 오래 나타나게 됩니다.  노년기 우울증    특히 노인 우울증은 젊은 성인의 우울증에 비해서 상당히 불안이나 초조가 많고, 특히 신체적인 증상으로 불면증, 잦은 통증 퉁 불편한 증상들을 많이 느끼고, 감정을 별로 안 느끼는데도 우울증이 심하게 나타나는 가면성 우울증이 특징적으로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우울은 우울증과 구분 없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우울증은 울적한 기분을 억누른다는 뜻인, 넓은 의미의 억울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우울은, 울적함을 걱정하고 염려한다는 보다 넓은 정서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우울과 우울증을 명확히 구분하여 사용한다는 것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실제로 그렇게 사용하고 있지 않으며,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입니다. 정신질환으로서의 노년기 우울증    사람은 누구나 다양한 삶을 경험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즉 어느 정도의 두려움, 불안, 슬픔, 분노, 놀라움, 즐거움 등 이러한 정서 상태가 비정상적이고 부적응 상태일 때 나타나는 현상이 우울이라고 부릅니다.    우울증은 개인이 신체적  사회적...

노년기 삶의 가장 큰 적, 노인 우울증의 원인과 현재 상황

이미지
    전 세계적으로 노인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 고 있는 추세입니다. 우리나라도 지난 30년 동안 사회 및 경제 성장과 함께 국민소득 및 생활수준이 향상되었고, 의학의 발달과 생활환경 개선으로 평균수명이 길어지고 출산율은 저하되어 고령인구가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 고령 사회로 접어든 우리 나라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고령자 통계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가 2000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65세 이상 인구비율 7.2%)한 이후, 2012년 12월 말 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5,980,060명으로 전체 인구(50,948,272명)의 11.8%로 고령 사회 문턱에 진입하였습니다. 또한, 1970년 3.1%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향후 2030년 24.3%, 2050년 37.4% 수준에 이르러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고령 사회란,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이 전체인구의 7% 이상을 차지하는 사회를 고령화 사회라고 하며,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1%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가족 구조의 변화     특히, 85세 이상 초고령 인구 비중은 2012년 0.9%에서 2030년 2.5%, 2050년 7.7%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매우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사회의 문제들 중 가장 큰 문제는 급속한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인들의 건강 및 복지 문제라 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사회 각 분야의 노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복지관련 정책도 다양하게 요구되고 있지만, 우리 사회는 이에 대한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응과 준비 가 미비한 실정입니다.    우리나라는 급속한 사회경제의 구조적 변화로 인하여, 사회뿐만 아니라 가족 내에서도 노인의 지위와 역할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외국에서도 마찬가지지만 전통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