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대림절설교인 게시물 표시

누가복음 1장 57절-66절, 우리에게 긍휼과 선물이 되시다 - 대림절 셋째주일 묵상과 설교

이미지
대림절 셋째 주일을 맞이하며, 사가랴와 엘리사벳의 가정에 하나님께서 요한이라는 선물을 주셨음을 묵상하였습니다. 그리고 우리에게 구원의 선물로 오신 예수님을 기억하였습니다. 본문을 묵상하고 대림절의 묵상과 설교로 정리하여 나눕니다. 누가복음 1장 57절-66절, 우리에게 긍휼과 선물이 되시다 목 마른 자가 우물을 파는가 우리 말에 "목 마른 자가 우물을 판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의 뜻은 "필요하고 급한 사람이 문제를 해결한다"입니다. 그런데 이 말을 곱씹어 보면, 목 마른 사람은 우물을 팔 수 있는 힘이 없습니다. 목이 마른 상태에서 우물을 파면, 더욱 목이 마르게 되니 결국 우물 파는 일을 실패하고 말 것입니다. 그래서 그리스도인들은 "목 마르지 않는 사람이 목 마른 사람을 위해 우물을 파 주어야 한다"로 바꾸는 것이 더 지혜롭고 성경적일 것입니다. 하나님의 긍휼과 선물이 임한 가정 이미 우리가 살펴 보았던 바와 같이, 사가랴와 엘리사벳은 나이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자녀가 없던 가정이었습니다. 이 가정이야말로 자녀로 인해 목이 말랐던 가정입니다. 하지만 이들 스스로는 자녀를 가질 수 없었습니다. 목 마른 이 가정이 우물을 팔 수도 없고 자녀를 출산할 능력도 없었던 것입니다. 우물을 스스로 팔 능력이 없는 사가랴와 엘리사벳의 집에 하나님께서 개입하셔서 자녀를 주셨습니다. 1. 주께서 그를 크게 긍휼히 여기셨습니다. 때가 되어 엘리사벳이 아들을 낳았습니다. 이 출산을 두고서 이웃과 친족들은 모두 하나님의 은혜라고 고백합니다. 58절을 함께 읽겠습니다. 누가복음 1:58, 이웃과 친족이 주께서 그를 크게 긍휼히 여기심을 듣고 함께 즐거워하더라 부족한 집안에 하나님께서 부족함을 채워주셨고, 상상할 수 없었던 기쁨을 주셨습니다. 엘리사벳은 결혼 후에도 자녀를 낳지 못했기에, 당시 유대인들의 사회에서는 치욕스러운 사람으로 여겨졌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엘리사벳의 치욕을 제거해 주셨고, 이 가정에 대를 이을 수 ...

누가복음 1장 39절-45절, 예수님으로 인해 복 있는 사람 - 대림절 둘째 주일예배 묵상과 설교

이미지
가브리엘의 수태고지를 들은 마리아는 친척인 예루살렘 근처에 사는 엘리사벳을 방문합니다. 마리아를 본 엘리사벳은 마리에를 복 있는 여인이라고 부르는데, 그 이유는 예수님 때문입니다. 대림절 둘째 주일예배의 설교를 정리하여 나눕니다. 누가복음 1장 39절-45절, 예수님으로 인해 복 있는 사람 복을 받으려면 우리 모두는 복을 받고 싶어 합니다. 복을 거부할 사람이 어디에 있겠습니까? 그런데 복을 받고 싶다고 해서 원하는 대로 복이 찾아오는 것은 아닙니다. 복을 받으려면, 복을 심어야 합니다. 그것도 많이 심어야 많은 복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복을 심고 나누어 주었다면, 그에 대한 대가를 받을 생각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할 때, 복을 피해 도망 다니려 해도 많은 복이 우리를 따라올 것이며 우리의 마음에도 참된 만족이 생겨나게 될 것입니다. 마리아는 복 있는 여인이었습니까? 마리아의 친족인 엘리사벳은 마리아를 보자마자 복 있는 여인이라고 노래합니다. 하지만 마리아의 형편을 살펴볼 때, 결코 마리아는 복 있는 여인이 아니었습니다. 왜 그럴까요? 1. 복 있는 여인, 엘리사벳 두 여인 중에서 복 있는 여인은 마리아가 아니라 엘리사벳이라 할 수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누가복음 1장에 기록된 대로, 나이가 많은 사가랴와 엘리사벳은 자녀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나이 많은 엘리사벳이 잉태하였고 그 아들이 메시아를 위한 중요한 일을 할 것이라는 천사의 계시까지 들었습니다. 그러니 자녀 없는 여인이 영태하였으니 엘리사벳이 복 있는 여인이지 않겠습니까? 2. 복 없는 여인, 마리아? 그에 반해, 마리아는 처녀였습니다. 그녀는 정혼자인 요셉이 있었지만, 아직 결혼하지 않았던 여인입니다. 처녀가 정혼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잉태를 하게 되었는데, 엘리사벳이 말한 대로 마리아가 과연 복 있는 여인일까요? 처녀인 마리아가 잉태했기에 만일 정혼자인 요셉이 분노했다면, 마리아는 간음죄로 돌에 맞을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니 마리아의 현실을 볼 때는 복 있는 여인이 아니라 복 없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