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도미티아누스황제인 게시물 표시

요한계시록 주석 정리, 요한계시록의 역사적 상황과 기록 목적에 대하여

이미지
요한계시록은 역사적인 현실 속에 있는 그리스도인들과 신앙을 저버린 변절자들에게 쓴 편지입니다. 그래서 요한계시록은 핍박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으며, 그 속에서 고난 당하는 성도들에게 위로와 소망을 주고 변절자들에게는 심판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요한계시록 서론 요한계시록의 역사적 상황 유대인들이 교회를 핍박하다 요한계시록은 박해와 압박에 직면한 그리스도인들과 타협하고자 하는 성도들에게 교훈하고 권면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유대교 회당에서 가장 먼저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반대가 일어났습니다(2:9; 3:9). 유대교는 로마 제국 내에서 고대 종교로 존중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유대인들은 로마의 신들을 숭배하고 황제 숭배에 참여하는 것에 면제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일부 유대인들은 교회를 적대시하며 로마 당국 앞에서 그리스도인들이 반로마 세력들이라고 공공연히 비난하였습니다(2:9). 로마 제국이 교회를 핍박하다 로마 제국 역시 성전과 성직자 그리고 절기 등과 같은 요소들이 갖추어진 유대교를 통해 교회를 핍박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유대교는 당시에 로마 제국 내에서 정치적, 사회적 그리고 경제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로마 제국의 각 지역에 형성되어 활동하던 무역 길드와 연계된 황제 숭배를 우상 숭배로 여기고 거부한 그리스도인들은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인 소외의 문제에 직면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황제 숭배는 특히 도미티아누스 황제(주후 81-96년)의 통치 기간 동안에 특히 강력했었는데, 그가 황제로서 강요하는 숭배 사항은 그리스도인들의 신앙 고백인 '오직 예수님만이 주님이십니다'와 직접적인 모순이 되어왔습니다. 비록 체계적이고 제국 전체적인 핍박이 일어나지는 않았지만,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통치 하에 였었던 박해는 실제로 일어났었고(1:9; 2:13; 6:9-10) 가까운 미래에 훨씬 더 심해질 것이라고 예상되었습니다(2:10; 3:10). 교회 내의 거짓 세력들의 영향력이 커지다 교회는 또한 주변의 현실들의 상황에 적응하고 받아들일 것을 촉구하는 거짓 교...

요한계시록 주석 정리, 요한계시록의 저작 시기에 대한 논쟁

이미지
  요한계시록은 마지막 때에 대한 말씀인 동시에, 실제적으로는 로마의 통치 시대에 요한이 기록한 성경입니다. 저작 시기에 대해 크게 네로 황제의 통치기인지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통치기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습니다. 그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요한계시록 서론 요한계시록의 저작 시기 1. 주후 1세기 말 혹은 주후 69년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 요한계시록의 저작 시기를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통치기간(주후 95-96년)인 1세기 말 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일부의 학자들은 주후 68년 네로 황제가 죽은 직후와 70년 예루살렘 함락의 직전인 주후 69년 이라는 날짜에 주목합니다.  주후 69년을 선호하는 일부의 학자들은 네로 통치 시대의 극심한 박해가 요한계시록에 기술된 상황과 더 부합된다고 주장합니다. 게다가 그들은 주후 69년이라는 날짜가 특정한 구절들을 더 잘 읽을 수 있게 도와 준다고 주장합니다. 예를 들어, 11장 1절-2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방인들이 성전의 뜰을 짓밟은 사건(70년에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되기 전), 13장 18절의 짐승의 숫자(666이 네로를 암호로 지칭할 수가 있다는 점), 17장 10절-11절의 짐승의 머리가 일곱 개 등이 그것입니다.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주장이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주후 1세기 말이라는 날짜가 가능성이 더 높다고 여겨집니다. 2. 외부적인 증거 외부적인 증거는 늦은 날짜를 더 지지합니다. 요한의 제자였던 폴리캅의 제자인 이레네오(2세기 후반)는 요한계시록에 대해 '그것은 도미티아누스의 통치 말기에 처음 우리 세대에게 주어졌다'라고 기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초기 교회의 교부들은 이같은 전통을 따릅니다. 또한 11:1-2; 13:18; 17:10-11과 같은 특정한 본문은 도미티아누스 치세의 상황으로 보는 것이 유익합니다. 추가적으로, 일곱 교회들의 상황은 모두 성장기에 있으며, 니골라 당과 같은 거짓 교사들이 등장했으며, 일부의 성도들이 영적으로 부패한 모습이 나타납니다(에베소, 사...